이혜리 정치부 기자
윤 대통령은 처음 지지율 최저점을 찍은 이후 나름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여전히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여당 내홍, 경제 악화 등 외부 요인을 원인으로 지적한다.
그러나 최근 여당이 ‘가처분 전쟁’에서 벗어났음에도 이것이 지지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단기적 회복이 불가능한 경제 위기를 언제까지 핑계 삼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결국 내부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윤 대통령은 지난 8월부터 지지율 부정 평가의 주된 이유들(인사, 독단적·일방적, 경제·민생을 안 살핀다 등)을 개선하는 데 집중해 왔다. 대통령실 인적 쇄신을 단행했고, 만 5세 입학·영빈관 신축 등 여론 악화 사안에서는 한발 물러섰다. 민생 현장 행보에 주력하는 한편 부인 김건희 여사와의 주말 행보는 없앴다.
하지만 부정적 요인을 제거하는 이런 수세적 방식만으로 지지율을 움직이는 건 어려워 보인다.
박스권 돌파를 위해 취임 초 대통령 지지율을 견인한 긍정 요인들을 다시 돌아봐야 할 시점이다. 갤럽 조사를 보면 윤 대통령의 취임 초 긍정 평가 요인으로 ‘소통’, ‘결단력·추진력·뚝심’, ‘공정·정의·원칙’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그러나 7월 말을 기점으로 이런 장점들이 하위권으로 밀려났고, 지지율이 하락했다. 대통령실 출입 기자들 사이에서도 최근 윤 대통령의 장점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통령실 일각에선 야권의 ‘불통 프레임’이 영향을 미쳤다고 반박한다. ‘출근길 문답’ 등 소통을 제일 많이 하는 대통령 아니냐는 것이다. 그러나 취임 초 윤 대통령의 소통이 장점으로 꼽혔던 것은 단순히 잦은 횟수 때문이 아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 16일 취임 후 첫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를 찾았다. 당시 하늘색 넥타이를 매고 야당 의원들과 악수하는 이례적 모습을 보였고, 본회의장을 나와서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초당적 협력을 강조했다.
이처럼 민생을 위해 누구와도 소탈하게 대화하는 모습은 지금의 소통과는 차이가 있지 않은가.
과거 권력과 맞섰던 윤 대통령에게 기대된 뚝심, 공정 등의 덕목도 마찬가지다. 과연 취임 후 제대로 발휘된 적이 있었는지 되돌아볼 때다.
2022-10-19 2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