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원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교수
산업혁명이 남긴 환경문제를 과학이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도 있었다. 독일의 국가중심 과학주의였다. 산림학과를 대학에 신설하면서 과학 연구와 정책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시인 워즈워스와 독일의 과학주의는 환경 파괴에 낙망하면서 주저앉지 않았다. 워즈워스의 시는 예전 아름다운 자연을 다시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대중에게 주었고, 독일은 과학으로 환경 회복의 길을 발견하려고 했다. 두 노력 모두 희망의 메시지를 대중에게 선사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170여년이 지난 지금 환경문제 해결은 더이상 시적이지도 않으며 과학적 희망도 품기 어려워졌다. 워즈워스를 이은 환경활동가들은 정부를 향해서만 목소리를 높이고, 국가는 과학의 이름을 빌린 정치와 규범적 정책으로 기후위기와 환경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워즈워스의 환경주의와 국가가 앞장섰던 실용과 실천 과학은 이제 국가를 대표하는 정부 정책에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대중은 밀려났다. 환경주의의 서막을 알렸던 문학과 과학은 본래의 맥을 이어 진화되기는커녕 변질되었다.
기후위기의 예를 들어 보자. 기후위기, 환경문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아마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일 것이다. 1988년 설립돼 데이터를 분석하고 모델을 만들어 미래기후를 과학적으로 예측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정부’ 간 협의체다. 지난해 발간된 보고서가 여섯 번째였다. 지구상 거의 모든 기후위기 논의는 IPCC 보고서를 근거로 이루어진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명암이 분명하다. 국제기구 중심으로 활동하기에 동력이 실리는 장점이 있지만 대중 참여는 사실상 어렵다.
현재 기후위기 체제에서 대중은 주체가 아니며 정부 간 협의체에서 정한 목표를 지키기 위해 만든 정책의 계몽 대상이라는 것을 부정하기 어렵다. 대중은 의미 있는 실천을 하고 싶어도 기회 자체가 차단된 현실의 벽을 만난다. 대중에게는 생태적 의지도, 실천적 과학도 허락되지 않는다. 정부 차원의 정책을 만든 이후에는 오로지 규범적 의무만 남을 뿐 환경주의 실천과 대중 중심 과학은 사라진다. 전문가 중심 체제를 넘어서 과학의 근본을 찾고, 시인의 마음을 읽어 대중이 중심이 되는 환경주의 길을 다시금 묻고 싶다.
2022-01-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