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기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세계 문화산업의 1차 골든타임이 영미권 주도의 시대였다면, 지금은 아시아가 성장동력으로 부상하는 2차 골든타임이다. 가장 적극적으로 패권 전환을 노리는 나라가 중국이다. 지난해 말 중국의 국민 1인당 평균 영화 관람 편수는 0.4편이다. 그런데도 영화시장은 이미 연간 35억 달러 규모로 미국에 이어 2위다. 한국(4.22편) 규모로 성장한다면 지금의 10배, 무려 350억 달러 이상으로 팽창한다는 얘기다. 중국뿐 아니다. 인구 1억명에 육박하는 베트남, 2억 5000만명의 세계 4위 인구 대국 인도네시아는 각각 평균 영화관람 편수가 0.18편, 0.23편에 불과해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
아시아 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 것은 한국이다. 한류 배우와 아이돌은 아시아 전역에 통하는 최강 스타파워를 가졌다. 여기에 감독과 우수한 스태프 등 아시아 최강의 콘텐츠 제작능력과 기획력까지 겸비했다. 이런 구슬을 꿰어서 기획하고, 아시아 전역에서 통하는 문화상품으로 완성하는 것은 네트워크와 자금력을 갖춘 거대 문화기업이다.
그런데 정작 국내 상황은 어떤가. 대기업 독과점과 수직계열화의 프레임에 갇혀 있다. CJ그룹의 문화콘텐츠 및 플랫폼 사업의 규모는 미국 할리우드 미디어 기업의 20분의1, 롯데는 90분의1 수준이다. 글로벌 문화산업의 무대에서는 구멍가게나 다름없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중국의 움직임은 가히 위협적이다. 중국의 3대 IT 업체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츠) 3형제는 영화 제작사 등을 설립해 콘텐츠 제작에 맹렬히 투자하고 있다. 올해 한국지사를 설립한 알리바바는 1000억원 규모의 한·중 영화펀드를 조성해 한·중 합작 영화와 드라마 제작에 나섰다. 중국의 유튜브로 불리는 요쿠 투도우도 SBS와 손잡고 ‘슈퍼주니어M의 게스트하우스’를 공동 제작한 데 이어 지난 14일 폐막한 부산국제영화제에 참석, 한국의 감독들에게 영화제작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비수기 악재에도 불구하고 개봉 열흘 만에 관객 100만명을 돌파한 한국영화 ‘슬로우 비디오’는 할리우드 3위 영화사인 폭스가 만들었다. 막강한 자금력으로 무장한 미국과 중국의 미디어그룹이 한국 콘텐츠에 투자하는 시대가 이미 열린 것이다.
문화산업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노하우를 축적하고 체득할 때에만 일정 수준 이상에 오를 수 있다. 제조업처럼 매뉴얼화해서 반복학습한다고 단기간에 쫓아 오기가 쉽지 않다. 제조업 대비 2배 이상의 일자리 창출 능력도 매력적이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제조업에만 의존하다가 위기를 맞을 수 있는 한국경제의 가장 유력한 차세대 먹거리 산업 후보다. 그러나 글로벌 차원의 전략 없이 향후 2~3년의 골든타임을 흘려버린다면 지금의 한류 호기는 물거품이 되고 만다. 과연 우리는 문화산업의 골든타임 전략을 갖고 있는지 자문해볼 때다.
2014-10-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