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과학 따라잡기] 군집 뇌 연구와 집단지능

[요즘 과학 따라잡기] 군집 뇌 연구와 집단지능

입력 2021-03-08 19:54
수정 2021-03-09 03: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1910년대 미국의 곤충학자이자 하버드대 교수였던 윌리엄 모턴 휠러는 수만 마리가 모여 사는 개미 떼에서 ‘사회적 행동’을 관찰하고 ‘집단지능’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개미 한 마리의 지능은 미약하나 수만 마리가 모였을 때의 지능은 놀랍도록 뛰어나다는 점이다.

국내 연구진은 이에 착안해 행동뿐 아니라 뇌 활동, 즉 뇌파를 실시간으로 측정·분석해 반짝이는 빛으로 시각화해 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연구를 하고 있다. 개별 개체의 뇌 활동을 넘어 사회적 관계를 가지는 ‘다수의 뇌 활동’을 실시간으로 하늘에서 조망하듯이 관찰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연구는 개별 개체에서는 발현되지 않다가 사회활동에서 발현되는 뇌파의 특이한 활동을 다채롭고 빠르게 관찰할 수 있다.

연구진의 성과는 향후 군집 뇌 신호와 사회적 행동 간 연관 관계를 밝혀내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 쥐를 통해 뇌 활동을 관찰하면서 연구진은 첫째, 위험 상황이 발생했을 때 여러 개체가 같이 있을 때 공포감을 더 적게 느낀다는 점과 여러 개체가 모여 있을 때 위협적인 요소가 나타나면 동료 개체에 둘러싸인 안쪽의 개체들은 평소와 같은 평온한 상태를 유지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인간도 혼자 있을 때와 사회적 관계 속에 있을 때 생각과 행동이 달라진다. 연구진은 향후 지금보다 더 많은 뇌 영역을 분석하고 뇌활동 시각화 기술을 고도화해 뇌의 특정한 신호가 사회적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낼 것이다.

이성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2021-03-09 2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