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과학 따라잡기] 드론으로 정밀측량해 지형도 만들기

[요즘 과학 따라잡기] 드론으로 정밀측량해 지형도 만들기

입력 2020-09-14 20:40
수정 2020-09-15 0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드론 지상기준점 기술

드론은 유인항공기에 비해 접근성과 경제성이 뛰어나고 크기가 작아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열적외선 카메라, 다분광 센서 등 소형 센서가 발달하면서 미세먼지 관측, 농업 환경 파악, 소나무 재선충병 파악, 산불감시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측량 분야에서는 드론에 장착돼 있는 카메라를 이용해 지형도를 만든다. 드론사진측량은 조사지역에 ‘지상기준점’을 설치하고 조사지역을 중복 촬영한 뒤 프로그램을 이용해 3차원 좌표 정보를 가지는 지형도를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지상기준점 설치와 위치정보 확보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서해안의 경우 조수에 따른 해수면 변화 때문에 드론사진측량이 가능한 시간이 하루에 약 3시간, 하루 1~2회 정도의 비행만 가능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지상기준점용 드론과 지상기준점용 부이이다. 지상기준점용 드론은 드론 상부에 지상기준점에 사용되는 식별판과 고정밀 위치 자동저장 장치를 장착해 계획된 지상기준점 위치에 착륙시킨 후 드론사진측량을 수행한다. 기존 대비 20%의 시간 절감 효과가 있다. 지상기준점용 부이는 식별판과 위치 자동저장 장치를 장착해 만조 때 설치하고 간조 때 지표면에 안착시켜 지상기준점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지상기준점 드론과 지상기준점 부이는 시간과 인력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갯벌 생태연구, 연안침식 모니터링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정의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임연구원
2020-09-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