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삼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우리나라 역시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 이후 교양오락비 지출이 급증하다가 IMF 경제 위기 이후 교양오락비 지출 비용과 비율이 급감한 바 있다. 20여년이 지난 오늘날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어서면서 다시 여가생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의미하는 ‘소확행’이나 일과 삶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밸’ 같은 용어의 유행이 이런 추세를 잘 보여 준다.
개인의 여가활동은 소득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게 사실이지만 동시에 시간도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여가활동이라는 것은 일에서부터 벗어나 편안하고도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여가활동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고 유익을 취하기 위해서는 오롯이 그에 필요한 시간을 할당해야 한다. 그러기에 여가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이유를 물으면 대다수가 ‘시간이 없어서’라는 대답을 많이 한다. 그러나 그 실상을 보면 여가를 위한 절대적인 시간이 없는 것이 아니라 다른 활동을 위한 시간을 우선적으로 배정하다 보니 여가 시간이 뒤로 밀리는 경향이 크다.
많은 사람들이 “나중에 은퇴 후 시간 여유가 생기면 원하던 여가생활을 하겠다”고 다짐한다. 그러나 젊었을 때 여가 경험이 없는 사람이 은퇴 후 새로운 여가활동을 시작하기는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새로운 것에 대한 경험을 확대하기보다는 과거에 익숙한 활동을 반복하고 지속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자들은 개인의 여가생활은 젊은 시기부터 지속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욱이 ‘100세 시대’를 가정할 경우 은퇴 후 30~40여년 동안 건강하고 활기차게 살기 위해 생애주기에 걸친 여가 경력 관리가 필요하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얼마 전 ‘2018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들의 여가 시간과 비용이 과거 2016년 조사 결과에 비해 증가했다. 여가 유형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TV 시청이 많았지만 그 시간은 줄고, 쇼핑과 외식, 원예, 게임 등 다양한 취미와 오락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노동시간 감소, 휴가사용 권장, 일·여가 균형 캠페인 등의 정책적 노력과 함께 일과 여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바뀐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나 자기계발과 같은 가치가 점차 중요해지고, ‘빨리빨리’의 문화에서 한 박자 쉬어 가는 ‘느림의 삶’을 중시하는 풍토가 확산되고 있다. ‘여가에 집중하거나 일과 여가의 균형을 이루고 있는 사람들이 일에 더 집중하는 사람들보다 행복 수준이 더 높다’고 하는 국민들의 인식 변화는 ‘2018 국민여가활동조사’에서 드러난 주목할 만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주 52시간 근로제도 도입이나 저녁이 있는 삶을 보장하려는 사회적 노력에 다양한 여가활동을 즐기고자 하는 개인적 노력이 더해진다면 국민의 행복 수준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와 예술, 스포츠, 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들이 여가활동을 통해 일상에서 행복을 느끼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2019-02-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