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동주상구(同舟相救)란 말이 있다. 같은 배에 탄 사람들은 배가 전복되는 위기에 처할 때 서로 힘을 모아 구조해야 한다는 뜻이다. 비록 환경이 다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와 중국이 보건의료 분야에서 직면한 문제는 크게 다르지 않다.
두 나라 모두 사망 원인 1위는 암이다. 실제로 한국 인구 10만명당 암 사망률은 지난해 기준 153명, 중국은 가장 최근 자료인 2013년 기준 158명이다. 두 나라 모두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한 노년생활을 가꿔 나가고자 하는 국민적 요구도 비슷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 기간 중에 중국과 체결한 보건의료협력 양해각서의 개정은 두 나라 정상이 보는 앞에서 이뤄진 것으로, 이를 담당한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소회가 남달랐다.
이번에 개정한 양해각서에 ‘고령화’라는 두 나라 공통의 도전과제를 맞아 치매예방 등 건강한 노년을 위한 협력 분야를 추가했다. 사망원인 1위인 암에 대한 예방·관리뿐 아니라 보편적 의료보장, 감염병과 만성질환에 대한 예방과 대응 강화, 정보통신기술(ICT)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강관리, 전통의학과 환자 안전, 정신 건강 등 두 나라 간 협력 범위를 확대했다.
이는 두 나라의 최근 보건의료 상황과 관심 분야를 총망라한 것으로 이후 실질적 이행을 위해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수립하기로 중국 측과 합의했다. 이 밖에 두 나라가 실질적인 협력 계기를 만들기 위해 내년 5월 한국에서 열리는 ‘메디컬 코리아 2018’ 한·중 협력 특별세션에 중국 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 관계자를 공식 초청하기로 했다.
한국의 암 관리 정책 경험과 우수한 암 치료 기술이 중국의 풍부한 임상사례와 보건산업 발전 잠재력과 결합한다면 두 나라의 보건의료 발전에 큰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방중 기간 우리는 민간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병원과 주요 학회 협력사업 등을 국가 차원으로 격상시키기 위해 두 나라의 국립암센터를 중심으로 암 정복을 위한 분야별 협력사업을 발굴해 진행할 것을 중국 측에 제안하기도 했다.
현재 중국 정부는 2020년 의식주 걱정하지 않는 ‘샤오캉’(小康) 사회 건설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지난해 8월 ‘헬스차이나 2030 행동강령’을 채택해 국민 건강 보장을 국가 우선발전 전략으로 수립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중국 정부는 2020년까지 건강관리 산업 규모를 8조 위안(약 1300조원)으로 확대하기 위해 외국 자본과 민간 자본의 투자를 장려하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리가 예상하는 2020년 국내 헬스케어 산업 규모 174조원의 8배에 이른다.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의료시장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처럼 중국은 거대한 시장과 자본이 있는 곳이다. 이는 보건의료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중국에 진출한 국내 의료기관 수는 59곳으로, 2011년부터 연평균 22%씩 증가했다. 해외에 있는 국내 의료기관 중 38%가 중국에 있다. 가장 높은 비중이다.
지난해 우리나라로 찾아온 외국인 환자의 35%가 중국인이었다. 지난해 중국인 환자 유치를 통해 거둔 진료 수입은 2793억원에 이른다. 이번에 개정한 보건의료협력 양해각서를 계기로 보건의료 협력을 더욱 확대한다면 두 나라 국민의 건강 증진은 물론 우리 보건산업이 중국에서 더욱 굳건히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자양분이 되리라 믿는다.
2017-12-25 2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