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취학 전 천 권 읽기는 최고의 선물/류경기 서울 중랑구청장

[자치광장] 취학 전 천 권 읽기는 최고의 선물/류경기 서울 중랑구청장

입력 2023-09-27 02:13
수정 2023-09-27 02: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류경기 서울 중랑구청장
류경기 서울 중랑구청장
“책은 즐겁다. 책은 총명하다.”

천 권의 책을 읽은 일곱 살 어린이가 쓴 소감이다. “저는 제 키만큼 책을 읽고 있어요. 124㎝나 읽었어요”라고 쓴 어린이도 있다. 벌써 ㎝를 알고 있다. 초등 3학년에 이미 2000권 이상을 읽은 한 어린이는 “나와 다르게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재미있어서 책을 읽는다”고 했다.

천 권을 읽은 어린이와 대화를 나눠 본 적이 있는데 이들은 사용하는 어휘부터 남달랐다. 미로와 같은 도서관에서 좋아하는 책을 척척 찾아낼 줄 알았고, 좋아하는 책과 작가 이름도 알고 있었다. 이렇게 되기까지 ‘천 권 읽기’에 앞서 ‘천 권 읽어주기’를 위한 부모의 노력도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천 권의 책을 읽으려면 매일 한 권씩, 꼬박 3년을 읽어야 한다.

중랑구가 2018년부터 시작한 ‘취학 전 천 권 읽기’에 중랑구 도서관을 중심으로 각 가정과 유치원, 어린이집 등 지역사회가 힘을 모으고 있다. 5~7세 어린이 1만 437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천 권 읽기에 성공한 어린이도 327명이다. 취학 전 천 권 읽기를 대표 특화 사업으로 내건 중랑숲어린이도서관은 2022년 전국도서관 운영평가에서 국무총리상을 받았다.

중요한 것은 ‘천 권’이라는 숫자나 결과가 아니라 즐겁게 책을 읽는 습관이다. 어린이가 스스로 책을 찾아 읽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어른의 도움이 필요하다. 천 권 읽기에 성공한 어린이들 곁에는 도서관을 수시로 드나들며 대여와 반납을 반복하고 무릎에 앉혀 놓고 목이 쉬도록 책을 읽어 준 부모들과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와 도서관 사서 등 전문가의 노력이 있었다. 책의 유익함에 대한 믿음, 어린이에 대한 사랑에서 비롯된 소중한 노력이 모여 한 아이에게 평생 습관을 선물하는 것이다.

5~7세 어린이에게 주목한 이유는 이 시기에 인간의 뇌가 80% 완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습관도 이 시기에 만들어진다. 책을 읽으며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고 책의 효용을 체득한 어린이는 자라서도 책을 읽으며 살아갈 확률이 높다. 책이 평생 외롭지 않을 친구가 돼 지혜를 준다. 취학 전 천 권 읽기가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라고 주장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중랑구는 책 읽는 도시를 위해 10분 거리 도서관을 목표로 도서관을 확대하고 누구나 쾌적하게 책 읽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지하철 역사에 설치한 스마트도서관과 구립도서관, 작은도서관 등 중랑구의 74개 도서관이 책 읽는 문화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아이들은 어른의 뒷모습을 보며 자란다. 짬을 내어 책을 펼치면 그 모습을 우리 아이들이 보며 자랄 것이다. 혼자선 조금 버겁다면 독서리더나 독서 동아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함께 읽으면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꾸준한 독서가 가능하다. 상호대차 서비스를 이용하면 대여와 반납도 쉽다. 올가을 우리 아이들에게 책 읽는 습관과 환경, 책을 좋아하는 어른의 뒷모습을 선물하는 건 어떨까.
2023-09-2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5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5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