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
행정과 사람이 만나는 대민행정은 동네에서부터 시작한다. 중앙정부가 신경 쓰지 못한 부분까지 세심하게 챙기는 게 기초 지방정부의 역할이다. 기초 지방정부가 지방정부의 중요성에 비해 인정받지 못하는 것도 현실이다. 최근 언론을 통해 ‘이건희 기증관’ 최종 종착지가 종로구 송현동임을 확인했다. 국립현대미술관 등 인근 시설과의 시너지와 도심 내 접근성을 고려한 결정이라 한다. 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남긴 유물과 미술품들을 한곳에서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축하할 일이다. 진심으로 환영한다.
다만 용산구도 관내 미술계는 물론 구민들과 함께 이건희 기증관 유치에 힘써 왔던 만큼 아쉬움이 남는다. 철도교통의 중심지로 전국적 접근성이 크고, 용산가족공원 부지의 역사적 의미까지 더해져 기대가 컸다. 부지를 최종 선정함에 앞서 우리 입장을 알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지방정부와 국민 의견을 듣는 자리는 없었다.
퇴임을 앞둔 4선 구청장으로서 염려스러운 것은 중앙정부와 기초 지방정부 간의 소통 부재다. 이건희 기증관 유치 건만이 아니다. 용산 정비창 부지에 1만 가구를 짓겠다고 발표했을 때도 용산구는 없었다. 용산구만의 문제도 아니다. 강남 서울의료원 부지와 은평 혁신파크가 연결돼 있는 상황에서 해당 자치구의 입장을 묻지 않았다.
민선 7기 첫해 서울시구청장협의회장, 전국시장ㆍ군수·구청장협의회장을 역임하며 지방정부의 협조 없이는 정책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느꼈다. 전국 226개 시·군·구는 지리적 여건이나 인구구성이 다르다. 지역 사정에 따라 각각의 이슈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져야 한다.
지방자치 부활 30년. 주민행복이 지역 경쟁력을 결정하고, 곧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중앙정부와 기초 지방정부 간 소통이 원활히 이뤄져야 할 이유다. 나라의 미래를 위해 그 이유를 잊지 않길 소원해 본다.
2021-11-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