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주 문화부 기자
현지에서 본 런던은 유구한 역사를 기반으로 한 과거와 테크놀로지를 앞세운 현대가 공존하는 거대한 문화 도시였다. 도시의 어디를 걷든 미술, 음악, 뮤지컬, 영화, 디자인 등 수많은 문화 콘텐츠를 마주하게 되고 시민들도 문화를 삶의 일부처럼 여긴다.
영국 문화 콘텐츠의 힘은 뭐니 뭐니 해도 독창성에서 나온다. 올해 400주기를 맞은 셰익스피어를 비롯해 책에서 시작해 영화, 뮤지컬, 관광 산업 등 창조 산업의 선봉에 선 해리 포터, 영국을 대표하는 록밴드 비틀스와 영국 드라마의 새 장을 연 셜록, 영국의 킬러 콘텐츠인 웨스트 엔드 뮤지컬까지. 이 문화 콘텐츠들은 테러 위협 속에서도 런던에 수많은 관광객들이 끊이지 않게 하는 원동력이다.
영국의 창조 산업이 성장하게 된 이유는 질 높은 콘텐츠의 공급, 관객들의 꾸준한 수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라는 3박자가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대부분 제값을 내고 관람하지만 영국에서는 호주머니가 가볍다고 문화를 즐기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대부분의 박물관이나 미술관은 특별 전시를 제외하고는 무료로 입장이 가능하고 각 뮤지컬 극장에서는 매일 아침 20파운드(약 3만원) 안팎의 저렴한 가격에 좌석을 판매하는 데이시트 제도도 있다. BBC 프롬스 같은 유명 클래식 축제도 5파운드짜리 스탠딩 티켓으로 세계적인 공연을 눈앞에서 볼 수 있다.
때문에 편식하지 않고 다양한 장르의 문화를 ‘즐길 줄 아는’ 관객들이 넘쳐나고 이 같은 예술적 공감대와 문화적인 토양은 질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선순환 구조를 이룬다. 영국은 학생 때부터 미술관, 박물관, 극장 등에서 문화 예술 교육을 통해 길러진 예술적인 경험이 나이가 들어서까지 이어진다. 정부도 창조성을 보장하기 위해 산업에 최소한으로 개입하고 다양한 장르의 문화를 고르게 지원하는 일명 ‘팔걸이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렇듯 진정한 문화 융성과 창조 경제는 교육과 정책 등 장기적이고 꾸준한 투자를 통해 생겨난 자발적인 수요와 함께할 때 가능한 것이지 정부의 일방적인 주도나 그럴듯한 구호만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이번 최순실 사태로 인해 문화창조융합 정책은 붕괴 직전이다. 관이 문화 정책을 졸속으로 운영하고 경제적으로 가시적인 성과만을 따지다가 사익에 눈 먼 한두 사람이 개입해 엄청난 국가적 손실을 가져온 것이다.
이번 사태로 인해 일각에서는 ‘창조’라는 말 자체에 거부감을 느끼고, 한류에서 시작된 한국의 패션, 뷰티, 음식 등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중요한 시점에 찬물을 끼얹고 말았다. 하지만 각국이 문화 콘텐츠와 소프트 파워로 경쟁하는 이때에 우리의 문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나 정책적 지원이 끊기고 외면받는 일만큼은 없어야 한다. 미꾸라지 한두 마리가 그동안 잘 가꿔온 연못을 흙탕물로 망치는 것을 두고만 볼 수는 없는 일 아닌가.
erin@seoul.co.kr
2016-11-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