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미 금융부 기자
‘서민의 재산 불리기를 돕겠다’던 당초 취지는 무색해진 지 오래다. 한 시중은행원은 “정부 정책으로 추진되는 상품은 은행들이 ‘성적표’(실적)를 잘 받아야 ‘밉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하니 줄 세우기식 실적 압박이 심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늘 그래 왔듯이) 3개월 정도만 반짝하고 곧 사그라지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실제 올해 2월 말부터 도입된 계좌이동제(3단계)도 이미 한발 앞서 비슷한 수순을 밟아 가고 있다. 이 제도는 온·오프라인에서 ‘클릭’ 한 번만으로 간편하게 주거래 계좌를 갈아탈 수 있도록 했다. 고객의 은행 선택권을 강화하면 은행들은 ‘집토끼(기존 고객) 사수’를 위해 서비스 차별화에 나서야 한다. 이는 곧 금융산업 경쟁력 제고로 이어질 것이라는 ‘선순환 구조’가 당초 이 제도를 도입한 정부의 취지였다.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 행원 1인당 계좌이동제 신규 100~120좌 할당이 떨어졌다는 소문과 함께 ‘행원 쥐어짜기’ 논란이 불거졌다. 제도 시행 이후 두 달이 채 되지 않아 계좌이동제를 문의하거나 신청하는 고객 발길도 뚝 끊겼다.
이 때문에 금융권에선 ISA와 계좌이동제, 기술금융을 ‘시한부 상품 3총사’라고 부른다. 박근혜 정부가 금융개혁의 ‘마중물’이라 치켜세우던 이들 상품도 현 정권과 함께 사라질 것이라는 인식이 깔렸다.
정부나 금융 당국 입장에서는 퍽 섭섭할 수도 있는 얘기다. 하지만 그만큼 설득력도 있다.
ISA만 놓고 봐도 그렇다. 영국과 선진국에서 벤치마킹한 이 상품은 출범 당시부터 ‘반쪽짜리’라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우리의 법과 규제에 끼워 맞추다 보니 세제 혜택(5년간 총 이자 소득의 200만원까지 비과세)이나 가입 연령 등 ‘문턱’이 높아져서다. 고객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상품은 아무리 은행원을 쥐어짜도 생명력이 짧다.
또 다른 이유는 ‘정치 프레임’이다. 차기 정부에서는 ISA, 계좌이동제, 기술금융 등 3총사가 용도 폐기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들 상품이 박근혜 정부의 대표 치적 상품이어서다. 실제 앞서 이명박 정부의 ‘녹색 금융’이 현 정부 들어 소리 소문 없이 자취를 감췄던 전례가 있다. 일종의 학습효과인 셈이다. 금융상품을 단순히 ‘상품’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정치적인 당리당략을 덧씌우려 하는 정치금융의 폐해다.
물론 ‘시한부 상품 3총사’의 운명을 아직은 장담할 수 없다. 다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이전 정부 색깔 지우기’로 금융권이 그동안 치러야 했던 유무형의 비용은 산업계 전체로 볼 땐 분명 뼈아픈 대목이다.
20대 국회 출발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16년 만의 여소야대 국회다.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고 있다. 번번이 금융의 발목을 잡아 오던 정치금융의 악습이 부디 새 국회에서는 되풀이되지 않기를 바란다. 정치의 수준이 금융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한다.
yium@seoul.co.kr
2016-04-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