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새해의 화두/이은주 문화부 기자

[오늘의 눈] 새해의 화두/이은주 문화부 기자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6-01-05 23:10
수정 2016-01-06 13: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은주 문화부 기자
이은주 문화부 기자
2016년을 며칠 앞둔 서울 관악구 신림동의 한 극장. 영화 ‘내부자들’ 상영관 맞은편에서 한 외국인이 영화 티켓을 들고 땀을 뻘뻘 흘리며 뛰어오고 있었다. 그가 과연 영화 속 대사들을 다 이해했는지는 의문이지만 영화를 제대로 봤다면 적어도 지금 한국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다. 영화는 한국 사회를 달구고 있는 ‘수저계급론’을 풍자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나라의 대중문화는 그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노동시간이 길고 보수적인 직장 문화가 뿌리내린 한국에서는 더욱 그렇다. 심신이 지친 한국인들은 여가 시간의 대부분을 TV 시청이나 영화 관람을 하면서 보낸다. 그만큼 대중문화는 지금의 사회를 가장 잘 보여 주는 틀이다. 때로 만듦새가 좀 부족한 작품이 흥행에 성공하는 이유는 대중과 소통하는 공감 지수가 높았기 때문이다.

지난 한 해 대중문화의 화두는 ‘분노’였다. 돈 앞에서는 인권도 사라진 비정한 시대. 안방극장에서는 재벌의 갑질과 상류층의 허위의식을 풍자한 드라마가 인기를 끌었고 스크린에서는 그들을 처절히 응징하는 영화들이 흥행에 성공했다. SBS 드라마 ‘용팔이’의 시청률이 20%까지 치솟은 것은 돈에 눈먼 의사가 VIP 환자를 돌보느라 사랑하는 엄마의 생명을 잃은 용팔이가 음지에서 왕진 의사로 맹활약하는 모습에 대리 만족을 느꼈기 때문이고, 재벌의 맷값 폭행을 소재로 한 영화 ‘베테랑’에 1200만이 넘는 관객이 호응한 것은 안하무인 재벌 3세 조태오에 대한 통쾌한 복수가 카타르시스를 안겼기 때문이다.

대중의 분노는 지난해 11월 개봉한 영화 ‘내부자들’에서 절정에 달했다. 돈도 백도 없는 ‘흙수저’인 검사 우장훈은 열심히 살아 보려고 나름대로 애썼지만 결국 현실의 벽 앞에 고꾸라지고 만다. 부장 검사가 억울함을 호소하는 그의 뒤통수에 대고 날리는 ‘그러길래 잘 좀 하지 그랬어. 아니면 잘 태어나든가’라는 대사는 부의 대물림 속에 좌절감을 느끼는 대중의 분노에 불을 질렀다. 한 영화계 인사는 “‘베테랑’에 이은 ‘내부자들’의 흥행은 권력과 재벌에 대한 우리 사회의 ‘분노조절장애’가 극에 달했음을 보여 주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올해 초 한국 사회의 화두는 ‘위로’다. 장기 불황에 접어들면서 20대부터 희망 퇴직을 권유받는 차가운 현실 속에 대중은 인정이 살아 있고 희망이 있었던 1980년대를 추억하는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을 보며 위로를 받고 설산(雪山)에 묻힌 동료를 끝까지 찾아나서는 끈끈한 동료애를 그린 영화 ‘히말라야’를 보면서 눈물을 흘렸다. 불평등을 비롯한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무기력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대중문화를 통해 상처받은 마음을 달래고 있는 것이다.

총선이 있는 올해는 더 많은 이들이 사회적 화두에 대해 궁금해할 것이다. 그렇다면 요즘 유행하는 드라마와 영화를 한번 찬찬히 볼 것을 권한다. 감성이 메마른 사람이 아니라면 금세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중이 진짜 원하는 것은 더이상의 내부자들이 아니라 계층 간 차별 없이 누구도 낙오시키지 않는 ‘응팔’의 쌍문동 이웃들과 ‘히말라야’의 휴먼 원정대라는 것을.

erin@seoul.co.kr
2016-01-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