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후반의 직장인 나관찰씨의 주말은 이렇게 시작된다. 폭풍 같은 한 주를 끝낸 금요일 밤 마트에서 맥주를 사 들고 TV 앞에 자리를 잡는다. tvN ‘삼시세끼-어촌편’ 속 만재도 잔잔한 바다를 바라보면 일주일 동안 쌓인 답답함이 조금이나마 해소된다. 매주 만나는 차승원과 유해진은 오래 알고 지낸 친구처럼 익숙하다. 그 둘 사이에 어정쩡하게 끼어 있는 손호준에게 잠시나마 감정이입을 해 본다.
주중 과도한 업무에 지쳐 제대로 된 주말 약속을 잡지 못한 나씨는 주말에도 TV 리모컨을 집어 든다. TV는 데이트는 물론 결혼생활까지 대신 해 준다. MBC ‘우리 결혼했어요’ 속 커플들을 보면서 마치 데이트를 하는 듯한 설렘에 빠져든다. 요즘 나씨 같은 사람이 늘어난 탓인지 종편에는 여자 연예인과 가상 연애를 하는 프로그램까지 등장했다. 나 혼자 사는 삶이 외로워질 때면 MBC ‘나 혼자 산다’의 독신자들과의 연대감을 느낀다.
나씨에게 결혼은 먼 얘기지만 그래도 결혼한 친구들이 얘기하곤 하는 육아의 즐거움과 힘겨움이 궁금해지기도 한다. KBS 2TV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켠다. 사랑이와 삼둥이의 재롱을 보다 보면 마치 내가 아이를 키우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문득 가족들의 얼굴이 하나둘 머리를 스칠 때쯤 TV에선 때마침 소원해진 아버지와 딸의 관계를 조명한 SBS ‘아빠를 부탁해’가 나온다. 연예인 아빠를 둔 그들과 거리감은 있지만 부모님과의 화해를 꿈꾸며 잠자리에 든다.
비단 나씨의 사례만은 아니다. 요즘 우리 국민은 ‘TV 권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국민여가 활동조사’에 따르면 여가 활동 중 TV 시청이 51.4%로 압도적이었고, 이 역시 혼자 하는 경우(56.8%)가 가장 많았다. 유형별로는 휴식이 62.2%로 오락(21%)이나 스포츠 참여(8.6%) 등을 앞섰다. 피곤에 지쳐 무기력해진 한국인의 삶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15년 구조개혁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OECD 국가 중 한국인의 노동시간은 가장 길고 생산성은 상위 50%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동 강도는 센 반면 충분한 나만의 시간을 갖고 재충전을 하지 못하는 구조 탓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장기적인 경기 불황에 호주머니가 가벼워지고 피로가 누적되면서 주말이면 밖에 나가 누군가를 만나는 것조차 부담스럽다고 호소하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 선택의 여지가 없다. 취미 혹은 여가 활동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한 TV 시청으로 대리 만족에 그치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들을 겨냥한 TV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호황을 맞고 있다. TV에는 오늘도 남녀 짝짓기 프로그램과 육아 예능 등이 넘쳐나지만 남들의 일상을 엿보기만 할 뿐 정작 결혼율과 출산율은 곤두박질치고 있다. TV 속 가상 현실에만 빠져 수동적인 삶에 익숙해져 가는 오늘 한국 사회의 씁쓸한 단면이다.
올해는 나관찰씨가 TV를 끄고 가상이 아닌 진짜 자신의 삶과 마주할 수 있을까.
erin@seoul.co.kr
이은주 문화부 기자
나씨에게 결혼은 먼 얘기지만 그래도 결혼한 친구들이 얘기하곤 하는 육아의 즐거움과 힘겨움이 궁금해지기도 한다. KBS 2TV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켠다. 사랑이와 삼둥이의 재롱을 보다 보면 마치 내가 아이를 키우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문득 가족들의 얼굴이 하나둘 머리를 스칠 때쯤 TV에선 때마침 소원해진 아버지와 딸의 관계를 조명한 SBS ‘아빠를 부탁해’가 나온다. 연예인 아빠를 둔 그들과 거리감은 있지만 부모님과의 화해를 꿈꾸며 잠자리에 든다.
비단 나씨의 사례만은 아니다. 요즘 우리 국민은 ‘TV 권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국민여가 활동조사’에 따르면 여가 활동 중 TV 시청이 51.4%로 압도적이었고, 이 역시 혼자 하는 경우(56.8%)가 가장 많았다. 유형별로는 휴식이 62.2%로 오락(21%)이나 스포츠 참여(8.6%) 등을 앞섰다. 피곤에 지쳐 무기력해진 한국인의 삶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15년 구조개혁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OECD 국가 중 한국인의 노동시간은 가장 길고 생산성은 상위 50%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동 강도는 센 반면 충분한 나만의 시간을 갖고 재충전을 하지 못하는 구조 탓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장기적인 경기 불황에 호주머니가 가벼워지고 피로가 누적되면서 주말이면 밖에 나가 누군가를 만나는 것조차 부담스럽다고 호소하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 선택의 여지가 없다. 취미 혹은 여가 활동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한 TV 시청으로 대리 만족에 그치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들을 겨냥한 TV 관찰 예능 프로그램은 호황을 맞고 있다. TV에는 오늘도 남녀 짝짓기 프로그램과 육아 예능 등이 넘쳐나지만 남들의 일상을 엿보기만 할 뿐 정작 결혼율과 출산율은 곤두박질치고 있다. TV 속 가상 현실에만 빠져 수동적인 삶에 익숙해져 가는 오늘 한국 사회의 씁쓸한 단면이다.
올해는 나관찰씨가 TV를 끄고 가상이 아닌 진짜 자신의 삶과 마주할 수 있을까.
erin@seoul.co.kr
2015-02-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