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Out] 분업적 협업을 통한 소·부·장 국산화/김순철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In&Out] 분업적 협업을 통한 소·부·장 국산화/김순철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입력 2020-05-10 22:32
수정 2020-05-11 0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순철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김순철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사무총장
지난해 7월 일본 정부는 한국에 대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개 품목 수출을 규제했다. 이어 8월에는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 국가’(자국의 안전 보장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첨단 기술과 부품 등을 수출할 때 수출 허가 절차에서 우대해 주는 국가)에서 배제하는 조치도 취했다.

이에 따라 한국 경제 전체가 휘청거릴 수 있다는 불안감이 몰려왔다. 대기업보다 기민한 대응 능력이 떨어지는 중소기업은 집단 부도에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까지 불거졌다. 하지만 10개월이 지난 현재 애초에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우리 기업들이 입은 직접적인 피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일본 수출 규제에 맞선 대·중소기업 간 국산화와 수입 다변화 노력이 ‘기술 종속의 우려’를 ‘기술 자립의 기대감’으로 바꾸고 있다. 우리가 지금 맞이한 이 중대한 전환기를 성공적으로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미 기업 내부의 혁신만으로는 외부 변화의 속도를 따라갈 수 없게 됐다. 개방형 혁신을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서로의 강점을 활용해 분업적 협력을 이뤄 나갈 때 비로소 우리 경제와 기업이 세계시장에서 그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다.

이런 취지로 지난해 10월 출범한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는 기업 간 ‘분업적 협력’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간 상생협의회는 피칭 데이, 기술 구매 상담회를 통해 산업 현장의 수요를 충실히 반영한 상생 모델을 발굴해 왔다. 이 가운데 3개의 상생 모델이 지난 1월 22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서 승인을 받았다. 앞으로는 연구개발(R&D)뿐 아니라 정책자금, 규제 특례까지 기업별 맞춤형 패키지로 지원받을 예정이다.

정부의 지원과 더불어 상생 모델에 참여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자발적 협력이 국산화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물론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는 속담처럼 대·중소기업이 협력해 기술 자립에 힘을 쏟고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정부와 관계기관 등에서 끊임없는 관심을 가져 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상생협의회는 소·부·장 산업의 실질적 협력을 모색하고 산업의 선진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실행 조직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출해 낸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6개 업종별 기술 구매 상담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한편 수요 대기업과의 협의를 통해 상생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다.

협력의 대상도 대·중소기업에서 사내 벤처까지 다양화하고 국산화에 성공한 제품이 안정적인 납품과 판로 확대까지 가능하도록 성과 공유제와도 연계해 나갈 계획이다. 협력재단은 상생협의회의 실무 지원기관으로서 분업적 상생 모델을 계속 찾아내고 상생협의회가 수요·공급기업의 협력과 혁신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신뢰를 쌓아 나가는 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
2020-05-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