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수십만 명이 북한을 방문한다. 대부분이 중국인이고 서양인은 소수이다. 중국인 방문객들은 신의주 당일치기나 ‘평양·개성·판문점’을 5~7일간 다녀오는 짧은 여행을 한다. 나는 지난 1일부터 21일까지 3주간 관광비자로 북한 외교관과 무역간부 육성기관인 평양외국어대학교에서 유학하고 관광하는 드문 체험을 했다.
숙소는 학생 기숙사가 아닌 국유호텔인 해방산호텔이었다. 북한 노동신문 옆 건물로 김일성광장과 평양시민위원회 등 당 관련 기관과 매우 가깝다. 평양 소재 호텔 중 숙박비가 비교적 싸지만 서비스는 물론 음식 맛도 매우 괜찮았다. 매일 오전 7시쯤 트럭에서 나오는 선전방송을 들으며 깨서 기타 솔로가 신나는 “우리의 김정은 동지”와 마음을 달래는 멜로디의 “세상에 부러움 없어라” 등 북한 최고의 명곡을 들으며 학교 갈 준비를 했다,
주중에는 오전 8시 30분에 호텔을 떠나 30분 이내에 평양외대에 도착했다. 김일성광장과 만수대대기념비, 개선문, 유경호텔, 여명거리 등 평양의 명소를 지나쳐 간다. 수업은 오전 9시부터 낮 12시 20분까지 조선 문학을 공부했다.
북한에서 조선 문학은 수령님(김일성)과 장군님(김정일), 그리고 원수님(김정은)의 문학과 예술 관련 생각에서부터 시작된다. 수업은 이들의 말을 인용하면서 문학의 기본 핵을 소개하고 김씨 가문의 위대성을 교육한 뒤 문학작품을 읽기 시작한다. 대부분 1945년 이후에 창작된 시나 단편소설이다. 우리가 현대문학을 직접 요청한 덕분에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로 가르쳤다.
강사는 최고 수준의 대학에 맞는 우수한 교육자로, 우리의 글쓰기도 봐주었다. 최고지도자들이 창작한 작품들과 당·조국을 극찬하는 작품들을 북한 현직 강사들과 같이 읽으면서 북한의 고등학생들이 거치는 교육과정을 체험할 수 있어서 북한 연구자로서도 역시 축복이었다.
주중에는 수업이 끝나면 평양 관광과 숙제하기에도 바빠 평양을 몇 번 떠나지 못했다. 그렇지만 두 번의 주말에는 평양을 떠나 지방 여행을 했다. 첫 번째 주말에는 판문점과 개성에 갔다. 두 번째 주말에는 원산과 금강산을 다녀왔다. 판문점 가는 길에 미곡협동농장이라는 모범농업단위도 갔는데 거기서 농장원과 이야기하면서 북한에서 진행되는 농업개선 조치인 포전담당책임관리제에 대해서도 물어볼 수 있었다. 그 농장원에 따르면 북한 농민들은 이제 수확물의 40%만 국가에 바치고 나머지는 개인 몫으로 쓸 수 있다고 했다. 사실관계가 어떤지 알아볼 수는 없었지만 재미있는 주장이었다.
판문점과 개성에 엄청난 중국인 관광객들이 몰려 관광 성수기라는 느낌이었다. 개성 호텔은 물론 두 번째 주말에 갔던 원산과 금강산 사이의 통천군과 고성군을 버스를 타고 지나가던 밤에도 전기공급이 북한답지 않게 괜찮은 편이라 놀라웠다. 안내원 동지들은 “이는 바로 강원도 정신”이라면서 강원도의 자력 갱생을 설명했다.
북한당국은 자국을 “정치사상 강국”이라고 자랑할 정도로 사상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사상에서 생존 전략도 찾았다. 안내원 동지들은 매번 꼭 사상 이야기를 하지 않았지만, 자기 나라에 대한 자부심, 즉 애국심이 강했다. 외국에 대한 관심도 풍부했고 특히 가족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눈빛이 반짝거렸다.
3주간 이동의 자유가 없는 북한에서 안내원 동지들과 대화할 때는 말을 조심해야 했지만 어느새 친밀한 관계를 맺게 됐다. 매일 오후와 주말에는 10시간 넘게 같이 있어 그럴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떠날 때 한 안내원 동지는 눈물을 흘렸고, 나도 언제 다시 볼 수 있을지 몰라서 울컥했다. 언젠가 다시 볼 날을 기원하며 눈물을 참으면서 떠났다.
피터 워드 국민대 연구원
주중에는 오전 8시 30분에 호텔을 떠나 30분 이내에 평양외대에 도착했다. 김일성광장과 만수대대기념비, 개선문, 유경호텔, 여명거리 등 평양의 명소를 지나쳐 간다. 수업은 오전 9시부터 낮 12시 20분까지 조선 문학을 공부했다.
북한에서 조선 문학은 수령님(김일성)과 장군님(김정일), 그리고 원수님(김정은)의 문학과 예술 관련 생각에서부터 시작된다. 수업은 이들의 말을 인용하면서 문학의 기본 핵을 소개하고 김씨 가문의 위대성을 교육한 뒤 문학작품을 읽기 시작한다. 대부분 1945년 이후에 창작된 시나 단편소설이다. 우리가 현대문학을 직접 요청한 덕분에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로 가르쳤다.
강사는 최고 수준의 대학에 맞는 우수한 교육자로, 우리의 글쓰기도 봐주었다. 최고지도자들이 창작한 작품들과 당·조국을 극찬하는 작품들을 북한 현직 강사들과 같이 읽으면서 북한의 고등학생들이 거치는 교육과정을 체험할 수 있어서 북한 연구자로서도 역시 축복이었다.
주중에는 수업이 끝나면 평양 관광과 숙제하기에도 바빠 평양을 몇 번 떠나지 못했다. 그렇지만 두 번의 주말에는 평양을 떠나 지방 여행을 했다. 첫 번째 주말에는 판문점과 개성에 갔다. 두 번째 주말에는 원산과 금강산을 다녀왔다. 판문점 가는 길에 미곡협동농장이라는 모범농업단위도 갔는데 거기서 농장원과 이야기하면서 북한에서 진행되는 농업개선 조치인 포전담당책임관리제에 대해서도 물어볼 수 있었다. 그 농장원에 따르면 북한 농민들은 이제 수확물의 40%만 국가에 바치고 나머지는 개인 몫으로 쓸 수 있다고 했다. 사실관계가 어떤지 알아볼 수는 없었지만 재미있는 주장이었다.
판문점과 개성에 엄청난 중국인 관광객들이 몰려 관광 성수기라는 느낌이었다. 개성 호텔은 물론 두 번째 주말에 갔던 원산과 금강산 사이의 통천군과 고성군을 버스를 타고 지나가던 밤에도 전기공급이 북한답지 않게 괜찮은 편이라 놀라웠다. 안내원 동지들은 “이는 바로 강원도 정신”이라면서 강원도의 자력 갱생을 설명했다.
북한당국은 자국을 “정치사상 강국”이라고 자랑할 정도로 사상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사상에서 생존 전략도 찾았다. 안내원 동지들은 매번 꼭 사상 이야기를 하지 않았지만, 자기 나라에 대한 자부심, 즉 애국심이 강했다. 외국에 대한 관심도 풍부했고 특히 가족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눈빛이 반짝거렸다.
3주간 이동의 자유가 없는 북한에서 안내원 동지들과 대화할 때는 말을 조심해야 했지만 어느새 친밀한 관계를 맺게 됐다. 매일 오후와 주말에는 10시간 넘게 같이 있어 그럴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떠날 때 한 안내원 동지는 눈물을 흘렸고, 나도 언제 다시 볼 수 있을지 몰라서 울컥했다. 언젠가 다시 볼 날을 기원하며 눈물을 참으면서 떠났다.
2018-07-25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