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철의 국립국어원장
사정이 이러하니 말광인 사전(辭典)도 이러한 사회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종이사전이 시디(CD)사전으로 바뀌더니, 인터넷이 발달하면서는 온라인사전이 대세인 시대가 됐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국립국어원은 웹 기반 사전 ‘우리말샘’을 편찬해 지난 5일 개통식을 가졌다. 2010년부터 7년 동안 편찬한 사전이다.
‘우리말샘’은 종이사전에는 없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진다. 우선 국민 참여형 사전이다. 100만여 항목을 담아 출발하는 이 사전은 편찬이 마무리된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과 함께 완성해 나가야 할 사전이다. 국민들이 사전을 이용하다가 실생활에서는 쓰이는데 사전에는 없는 말이 있다면 그 단어를 등록할 수도 있고, 뜻풀이 등에서 잘못된 부분이나 미흡한 부분이 있으면 보완하는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다. 국민들이 새롭게 제안한 정보는 감수 과정을 거쳐 사전에 반영된다.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 자신의 국어 지식을 보태 준다면 이 사전은 국민들의 국어에 대한 지식을 집대성하는 사전이 될 것이다.
이 사전은 ‘표준국어대사전’과 달리 규범 사전이 아니기 때문에 표준어가 아닌 말들도 얼마든지 담아낼 수 있다. 신어, 방언, 전문용어 등 국민들의 생활 속에서 쓰이는 모든 단어들이 실릴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지나친 비속어라든가 욕설, 어떤 개인이나 집단을 비방하는 말 등은 실리지 않는다. 이는 우리말을 품위 있는 언어로 유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다.
이 사전은 종이사전이나 시디사전과는 달리 용량에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 그래서 종이사전이나 시디사전보다는 훨씬 많은 여러 가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우리말샘’에는 기존 사전들에서 제공하던 정보(뜻풀이, 품사, 발음, 활용, 용례) 이외에도 해당 단어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보여 주는 어휘 역사 정보를 제공하며, 표준어에 대한 다양한 지역어(방언) 정보도 제공한다. 또 해당 단어에 대한 수어(수화언어) 정보도 동영상으로 제공하며 해당 단어에 대한 어휘 정보(상위어, 하위어, 비슷한말, 반대말, 높임말, 낮춤말 등)를 어휘 지도로 보여 주기도 한다. 옛말 언해문에는 한문 원문도 제공한다. 기존 사전들보다 다중 매체(멀티미디어) 자료도 더 갖추었다.
우리는 지금 지식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많은 지식이 인터넷 등 정보화 기반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때에 누구나 쉽게 접근해 참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우리말샘’은 국민의 언어생활을 풍요롭게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시시각각 변하는 우리말과 우리 사회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 줄 것이다. 언어 사전으로서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이 사전 ‘우리말샘’이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로 풍성하고 알차게 채워지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 사전으로 인해 우리도 문화민족으로서의 자긍심을 가질 수 있게 되기를 기원해 본다.
2016-10-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