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Out] 풍요로운 삶 위한 스포츠 정책을 기대하며/이정대 미국 조지아그위넷대 교수

[In&Out] 풍요로운 삶 위한 스포츠 정책을 기대하며/이정대 미국 조지아그위넷대 교수

입력 2016-10-06 22:50
수정 2016-10-07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정대 미국 조지아그위넷대 교수
이정대 미국 조지아그위넷대 교수
미국 문화의 근간은 개척주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스포츠는 미국 문화 현상 중 단연코 가장 열광을 많이 받는 것 중 하나일 것이다. 스포츠 현장에서만 확연히 두드러지는 도전정신 혹은 경쟁 등이 그들의 개척주의와 잘 부합한다. 그래서인지 미국은 생활체육 저변을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넓히는 데 주력한다. 국제적으로 미국은 엘리트 스포츠는 물론 생활체육까지 타국에 좋은 본보기를 제시한다. 자타 공인 ‘스포츠 선진국’이다. 하지만 이러한 스포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흥미롭게도 미국에는 국가 차원의 체육정책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미국에는 한국의 문화체육관광부처럼 체육정책을 전담할 만한 정부의 행정기구가 따로 없다. 물론 미국올림픽위원회나 그 산하 경기 단체가 있지만 국가 정책적 기능과는 거리가 먼 단체로 규정돼 있다. 혹 있을지 모를 일명 ‘스포츠’ 혹은 ‘체육’이라는 이름 아래 운영되는 정책 담당 부서조차 없다. 예산 편성에서는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이라고 항목을 찾을 수 있었지만, 전체 예산 규모와 비교한다면 매우 미미하다. 체육정책에 대한 기사나 연구논문 역시 쉽게 발견할 수가 없었다.

한국에는 국가가 주도하는 체육정책이 존재한다. 정부는 지난 몇십년 동안의 한국 스포츠에 깊게 관여해 왔다. 문화체육관광부(예전에는 체육부), 연구소, 선수촌 등이 스포츠 인구 확대, 프로그램 및 시설 관리, 경기력 향상 연구, 더 나아가서 자금이나 국민 정서를 움직일 수 있는 정부 차원의 행정력이 이들 국가주도 정책들의 결과물들로 나타난다. 필자는 미국도 국가 정부 차원의 정책이 한국에서처럼 적극적으로 이뤄진다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미국 스포츠는 지나친 물질 자본주의와 개인주의적 경쟁으로 인해서 최근 약물이나 여러 도덕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 조금 강력한 정부 차원의 정책적 통제와 관리가 있었다면 그러한 문제들이 대폭 줄어들지 않았을까 하는 바람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미국인들은 무작정 정부 주도의 정책을 환영하고 받아들일까 하는 의문 역시 가져본다. 미국은 개인의 의지와 신념을 비교적 존중하고 그 권리를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일방적이고 획일화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정책적 개입을 무조건 환영하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미국에는 종목별로 혹은 지역적으로 무수히 많은 스포츠 조직들이 있다. 스포츠 종목에 따라 대부분 자생적으로 형성되지만 나름의 필요 때문에 다양한 정책을 내세워 그 조직을 유지한다. 한국적 풍토로 보면 공인 조직이 아닌 소위 ‘사설’ 조직인 셈이지만 많은 조직이 뜻밖에 건실하고 공적 인지도 또한 높다. 더불어 스포츠인들의 넓은 저변으로 인해서 공적 인지도만 갖추고 있다면 쉽게 소멸하는 조직들은 찾아볼 수 없다.

이들에게도 나름대로 정책이 있지만, 조직 구성원의 필요와 추구 점에 따라 매우 정밀하고 탄력성 있게 정책이 입안이 되고 시행된다. 하지만 그들의 정책 대부분은 개개인의 긍정적인 스포츠 경험과 안전에 대한 지원에 매우 집중돼 있다. 스포츠 정책의 필요성과 그 효율성에 관련해 어떤 것이 옳은 것인지 쉽게 판단할 수는 없다. 하지만 미국의 여러 자생 스포츠 조직들이 국가 차원의 정책적 개입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점이 미국의 스포츠 문화가 더욱 개개인의 삶의 가치와 추구 점에 자연스럽게 접근하고 형성되는 토대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정책이 필요하다면 조금 더 개인의 삶에 대한 긍정성에 중점을 둬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단편적으로 금메달이나 성적으로 정책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지 않는, 하지만 조금은 이상적으로 들릴지 모르겠지만 스포츠에 참가하는 개개인의 긍정적 삶의 발전에 잣대가 주어지는 그러한 정책을 바라는 것이다.
2016-10-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