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는 운동 선수들이 각종 일탈행위로 퇴출당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로 인해 프로 선수를 쫓아내는 것은 선수가 쌓아 놓은 명성은 물론 일과 소득, 거기다 미래까지 빼앗는 가혹한 일이다. 그러니 신중해야 하고 또 공평해야 한다. 단지 유명하다고 공인처럼 엄한 도덕률을 적용해선 안 된다. 잘못에 대한 벌은 딱 잘못한 만큼이어야 한다. 형사처벌을 받게 되는 경우도 그렇다. 경찰에 입건만 돼도 퇴출시키곤 하는데 ‘무죄추정의 원칙’이 체육계에서도 지켜져야 한다.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젊은이에게는 낭만을, 국민들에게는 여가 선용을.’ 프로야구 출범 때 내건 캐치프레이즈는 지금 봐도 멋있다. 선수들의 일거수일투족이 자라나는 세대에게 미치는 영향도 만만치 않다. 가혹하다 싶은 퇴출도 아마 그런 영향을 생각한 까닭일지 모른다. 그렇지만 좀 막연하고 일관성도 없다. 프로야구 선수들의 퇴출을 법원에서 다룬다면 한국야구위원회나 구단의 결정과는 사뭇 다른 결정들이 속출할 것이다.
몇 사람의 일탈이 미치는 영향보다 진짜 중요한 문제는 따로 있다. 이를테면 목적을 위해 수단방법 가리지 않아도 된다는 ‘승리지상주의’가 그렇다. 성적에 따라 운명이 달라지는 무한도전의 사회에서 프로야구는 그 정점을 보여 준다. 역사적 명장의 반열에 올랐던 김응룡 감독의 마지막도 성적에 따른 퇴출이었다. 선수 생명을 건 혹사도 많다. 김성근 한화 감독 논란은 박철순의 말처럼 1등이었다면 없었을 수도 있다. 어떻든 이기면 된다는 풍토가 어린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하면 눈앞이 캄캄해진다.
상대가 꼭 이겨야 할 적수가 아니라 서로 자매애의 정신으로 협력해야 할 동반자라는 생각을 배울 수는 없을까. 그게 아니라도 뭐든 이목을 끄는 잘못을 했다면 언제든지 쫓겨날 수 있다는 ‘쉬운 해고’가 주는 교훈은 뭘까. 설령 잘못이 있어도 딱 잘못한 만큼만 벌을 받는다거나 진심 어린 반성을 하고, 잘못을 반복하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편이 훨씬 더 교훈적이지 않을까.
야구를 하는 조카는 중학교 1학년생인데도 야구장에서 산다. 추석 연휴에도 이틀밖에 쉬지 못했다. 고등학교 진학이 걸려 있어 어쩔 수 없단다. 매일 야간훈련을 받고, 감독이 원하는 기량에 미치지 못하면 새벽 2시까지 훈련을 받기도 한단다. 좋아서 하는 일이라지만 너무 힘들단다. 앞으로 조카에게 어떤 삶이 펼쳐질지 모르겠다. 다만 운동을 그만두는 날까지 흘릴 땀이 엄청날 거란 사실은 분명하다. 한번 시작하면 도태되거나 쫓겨나면 모를까, 마치 컨베이어벨트에 올라 탄 사람처럼 스스로 그만둘 수도 없는 힘든 과정이다.
열심히 한다고 프로선수가 되는 것도 아니다. 훈련을 거듭하고, 경쟁도 거듭해야 한다. 프로선수들은 모두 이런 과정을 거친 사람들이다. 야구만 20년 넘게 했던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을 단박에, 형사처벌로 치면 벌금 100만원 남짓의 잘못만으로 쫓아내는 일은 온당치 못하다.
프로야구가 진짜 꿈을 주려면 선수들이 ‘약자’여서 당하는 설움부터 없애야 한다. 사람이 사람 대접을 받는 원칙과 상식부터 회복해야 한다. 미국처럼 선수노동조합을 만드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노조 활동을 통해 선수들의 인권을 지키며 구단의 갑질에 대응할 수 있다. 노동조합이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선수들이 약자의 설움을 당하지 않고, 당당한 직업인으로 대접받을 가장 현실적인 방안인 것은 틀림없다.
승리지상주의에 매몰돼 선수를 얼마든지 대체 가능한 부품쯤으로 여기지 않고, 인권을 보장받아야 할 사람으로 여기는 풍토부터 정착시켜야 한다. 사람 대접받는 프로야구, 그래야 진짜 꿈을 줄 수 있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
몇 사람의 일탈이 미치는 영향보다 진짜 중요한 문제는 따로 있다. 이를테면 목적을 위해 수단방법 가리지 않아도 된다는 ‘승리지상주의’가 그렇다. 성적에 따라 운명이 달라지는 무한도전의 사회에서 프로야구는 그 정점을 보여 준다. 역사적 명장의 반열에 올랐던 김응룡 감독의 마지막도 성적에 따른 퇴출이었다. 선수 생명을 건 혹사도 많다. 김성근 한화 감독 논란은 박철순의 말처럼 1등이었다면 없었을 수도 있다. 어떻든 이기면 된다는 풍토가 어린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하면 눈앞이 캄캄해진다.
상대가 꼭 이겨야 할 적수가 아니라 서로 자매애의 정신으로 협력해야 할 동반자라는 생각을 배울 수는 없을까. 그게 아니라도 뭐든 이목을 끄는 잘못을 했다면 언제든지 쫓겨날 수 있다는 ‘쉬운 해고’가 주는 교훈은 뭘까. 설령 잘못이 있어도 딱 잘못한 만큼만 벌을 받는다거나 진심 어린 반성을 하고, 잘못을 반복하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편이 훨씬 더 교훈적이지 않을까.
야구를 하는 조카는 중학교 1학년생인데도 야구장에서 산다. 추석 연휴에도 이틀밖에 쉬지 못했다. 고등학교 진학이 걸려 있어 어쩔 수 없단다. 매일 야간훈련을 받고, 감독이 원하는 기량에 미치지 못하면 새벽 2시까지 훈련을 받기도 한단다. 좋아서 하는 일이라지만 너무 힘들단다. 앞으로 조카에게 어떤 삶이 펼쳐질지 모르겠다. 다만 운동을 그만두는 날까지 흘릴 땀이 엄청날 거란 사실은 분명하다. 한번 시작하면 도태되거나 쫓겨나면 모를까, 마치 컨베이어벨트에 올라 탄 사람처럼 스스로 그만둘 수도 없는 힘든 과정이다.
열심히 한다고 프로선수가 되는 것도 아니다. 훈련을 거듭하고, 경쟁도 거듭해야 한다. 프로선수들은 모두 이런 과정을 거친 사람들이다. 야구만 20년 넘게 했던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을 단박에, 형사처벌로 치면 벌금 100만원 남짓의 잘못만으로 쫓아내는 일은 온당치 못하다.
프로야구가 진짜 꿈을 주려면 선수들이 ‘약자’여서 당하는 설움부터 없애야 한다. 사람이 사람 대접을 받는 원칙과 상식부터 회복해야 한다. 미국처럼 선수노동조합을 만드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노조 활동을 통해 선수들의 인권을 지키며 구단의 갑질에 대응할 수 있다. 노동조합이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선수들이 약자의 설움을 당하지 않고, 당당한 직업인으로 대접받을 가장 현실적인 방안인 것은 틀림없다.
승리지상주의에 매몰돼 선수를 얼마든지 대체 가능한 부품쯤으로 여기지 않고, 인권을 보장받아야 할 사람으로 여기는 풍토부터 정착시켜야 한다. 사람 대접받는 프로야구, 그래야 진짜 꿈을 줄 수 있다.
2016-09-19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