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의 새로운 미팅 방식을 소개한 기사(경향신문 1987년 4월 4일자).
은어들도 많다. ‘팅순이’(미팅을 자주 하는 여대생), ‘졸팅’(갑자기 하는 미팅), ‘1일 반창고’(하루 데이트), ‘양말 신었다’(애인이 있다), ‘종빙고’(종강을 빙자한 고고미팅), ‘킹카’(괜찮은 상대), ‘에이스카’(아주 괜찮은 상대), ‘물카’(마음에 안 드는 상대), ‘후지카’(아주 마음에 안 드는 상대), ‘으악카’(그보다 더 이하인 상대) 등이다(매일경제 1978년 4월 12일자).
“2(월)말 3(월)초의 기회를 놓치기는 했지만 3말 4초의 신화를 남기고야 말겠다고 바동거리는 경이, 군대 가는 남자친구 때문에 기분이 착잡해져서 나온 윤이, (…) 이렇게 4명이 신촌 경양식집 흩어진 조명 밑으로 스며들었다. 양주병을 앞에 두고 나란히 앉은 남녀, 눈을 내리깔고 다리를 꼬고 앉아서 여유 있게 담배 연기를 뿜어 대는 여성 몇몇….”(동아일보 1978년 9월 28일자) 당시 여대생이 신문에 쓴 미팅 풍경이다.
1981년부터는 졸업정원제 등으로 미팅도 시들해지기 시작했다. 학업 부담 때문에 미팅을 원하는 학생도 줄었고, 첫 미팅 때 꽃이나 손수건을 주고받던 낭만적인 풍경도 사라졌다. 고팅이나 디스코팅이 성행하고 마음에 들면 바로 술집으로 향하는 가벼운 분위기로 바뀌었다. 상대방의 소지품을 선택해 짝을 짓는 방법이 나온 것도 그 무렵이다. 한 학생에게 ‘에이스카’를 마음대로 선택하게 하고 대신 찻값을 모두 내게 하는 ‘시드 배정’이라는 것도 있었다고 한다(동아일보 1981년 4월 27일자).
남자 수를 늘려 고의로 여자 한 명의 짝을 없도록 하는 ‘피보기팅’이 1970년대식이라면, ‘1지망, 2지망, 3지망’을 적는 ‘학력고사팅’은 1980년대, 경매로 짝을 짓는 ‘노예팅’은 1990년대 방식이다.
또 그룹 미팅에서 벗어나 맞선식 ‘소개팅’ 또는 ‘선팅’이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1987년 무렵이다. 지방 학생 남녀가 같은 방에서 사는 ‘계약동거’라는, 다소 충격적인 풍조도 번졌다. 소개팅에서 마음에 드는 상대방을 만나면 가족에게는 알리지 않고 친구들을 초대해 결혼까지 약속하는 의식인 ‘언약식’도 일부 학생들 사이에 있었다.
2019-04-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