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시간은 사라지지 않는다/송정림 드라마 작가

[문화마당] 시간은 사라지지 않는다/송정림 드라마 작가

입력 2019-11-06 17:20
수정 2019-11-07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송정림 드라마 작가
송정림 드라마 작가
또 한 해가 뒷모습을 보인다. 내딛는 발걸음에 툭, 낙엽이 차이고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다. 한여름 맹렬한 푸름을 과시하며 의기양양했던 나뭇잎이 가을이 되면 낙엽이 돼 처절하게 추락한다.

시간이 가져가 버린 것들이 슬프다. 한때 찬란했던 젊음도, 눈부셨던 아름다움도, 황홀했던 사랑도 시간이 거둬 간다. 뜨겁던 꿈도, 치열했던 의지도 시간이 데려간다. 흘러가 버린 시간은 형체가 없어서 만질 수도 볼 수도 없다. 그래서 남은 게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정말 시간은 사라지고 없는 것일까. 그렇다면 그 시간 속에 스민 기억은 뭘까. 기억된다는 것은 뭐고 잊힌다는 것은 뭘까.

잊힌다는 것의 의미를 나는 알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 망각의 공포가 뭔지 알 것 같다. 어머니가 나를 기억하지 못하셨을 때, 사랑이 가득 담긴 눈으로 나를 보던 어머니 눈빛이 텅 비어 버렸음을 보았을 때, 어머니 마음에 내 존재가 지워져 버렸음을 알았을 때 나는 극도의 두려움을 느꼈다. 내 삶의 중요한 역사가 사라져 버린 것 같아 어머니를 붙잡고 울었다. 물망초 꽃말처럼 ‘나를 잊지 말아 달라’는, 이 세상에서 가장 애절한 부탁을 하면서….

프랑스 화가이면서 시인인 마리 로랑생은 시를 썼다. 세상에서 가장 가엾은 사람은 잊힌 여인이라고. 그 어떤 불행과 슬픔보다, 죽음보다도 잊히는 것을 더 두려워했던 마리는 피카소의 소개로 시인인 기욤 아폴리네르를 만났다. 두 사람은 사생아라는 공통점 때문인지 만나자마자 사랑에 빠졌다.

아폴리네르를 사랑하던 시기에 마리는 가장 뛰어난 그림을 그렸다. 아폴리네르 역시 그 시기에 최고의 시를 쏟아냈다. 그러나 예술의 절정에 있을 때,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살던 두 사람은 결별해야 했다. 사랑을 잃어버린 후 집으로 돌아오기 위해 다리를 건너던 아폴리네르는 다리에 멈춰 서서 ‘미라보 다리’를 썼다.

‘나날은 흘러가고 달도 흐르고/지나간 세월도 흘러만 간다//우리의 사랑은 가서는 오지 않고/미라보 다리 아래 센강만 흐른다’

이별 후에도 더욱 사랑했지만 그들은 다시 만날 수 없었고, 마리는 죽기 직전 유언을 남겼다. “하얀 드레스를 입혀 주세요. 그리고 빨간 장미와 아폴리네르의 편지를 가슴에 올려 주세요.”

잊히는 것을 두려워했던 그녀는 스스로 잊지 않음을 선택해 죽는 순간까지 사랑을 간직했다. 기억할수록 더 외로웠겠지만, 기억이 아파서 심장 쪽을 부여잡고 우는 날이 많았겠지만 그래도 끝까지 잊지 않았다. 애틋했던 사랑도 치열했던 인생도 기억하지 않으면 사라진다. 시간은 기억이 없으면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러니 기억하고 아파할까, 잊고 편해질까? 둘 중 하나를 택하라면 나 역시 아파도 기억하겠다. 그러지 않으면 사랑한 시간도, 살아 낸 시간도 허망하니까. 다른 이의 마음은 내가 어쩔 수 없고 내 인생 역시 나만이 알 수 있으니 내가 기억하고 기념하면 되지 않을까. 내 사랑이, 내 인생이 잊힐 거라고 두려워하기보다 내가 간직하면 되지 않을까. 내가 잊지 않는다면, 그렇다면 이별한 게 아니다. 시간이 그렇게 허망한 것도 아니다. 사라지는 게 아니라 간직되는 것일 테니까…. 시간 속에 기억이 새겨지는 한 이별도 사랑의 끝이 아니고 죽음도 인생의 끝이 아니다.

그래서 나는 두렵다. 마리 로랑생은 잊히는 것을 두려워했지만 나는 잊을까 봐 두렵다.

시간이 흐른다. 시간 속에 우리는 어떤 순간을 기억 속에 새겨 갈까. 또 어떤 순간을 잊어 갈까. 최선을 다해 사랑하고 살아가기를. 그 사랑, 그 삶을, 최선을 다해 잊지 말기를.
2019-11-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