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시집을 선물하는 시대/김소연 시인

[문화마당] 시집을 선물하는 시대/김소연 시인

입력 2017-10-11 17:52
수정 2017-10-11 17: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금연휴에도 휴식을 갖기 힘든 후배를 위해 그의 서점에 가서 일일 아르바이트를 했다. 동네 서점의 처지를 알기에 ‘일일 시집 구매 상담소’를 차렸다. 읽고 싶은 시집에 대해 구매자가 간략히 언급을 해 주면 그에 맞춤하는 시집을 소개하는 것이었는데, 저자의 붉은 도장이 찍힌 인지가 붙어 있는 활판본 옛날 시집이나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귀한 시집들을 마음껏 권해 보았다. 몇몇 손님은 선물로 줄 수 있는 시집을 권해 달라며 선물 받을 사람에 대해 나름의 묘사를 전해 주었다. 선물 받을 사람에 대해 초록색을 좋아한다는 것 말고는 아는 게 없다는 손님에게는 초록색 표지의 시집을 몇 권 골라 주기도 했다. 시집을 선물하는 시대가 다시 오다니. 80년대에 대학을 다닌 나에겐 까마득하게 잊었던 과거가 먼 길을 돌고 돌아 미래처럼 문 앞에 당도한 느낌이 들었다. 그 시절의 우리들은 시집을 가장 열렬히 읽고 가장 소중하게 선물로 주던 마지막 세대가 됐다고 생각해 버린 지 30년 가까이 지났는데, 선물용 시집을 구매하며 단아하게 웃는 청춘들을 직접 목격하게 될 줄이야.
이미지 확대
김소연 시인
김소연 시인
어떤 분은 읽고 나면 ‘어쩌라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은 시집을 권해 달라고 했다. 손님은 절망투성이 인생도 불안하고 벅찬데, 시가 그 절망을 처절하게 보여 주는 것이 괴롭다고 첨언했다. 덕분에 절망의 나락을 용감하게 보여 주는 것이 시의 가장 귀한 속성이었으나, 이 속성도 다 옛날 일이 아닐까 싶은 생각을 해보게 됐다. 2017년을 살아내고 있는 지금의 청춘들에게 절망의 나락은 굳이 시집을 펼쳐 읽지 않아도 가장 자주 만나는 지긋지긋한 국면이 돼 버렸는데, 시는 그것을 신랄하게 보여 주지도 못하고 그저 낭만적이고 미학적이게 보여 주려 애를 쓰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은 것이다.

어째서 다시 시집이 읽히고 시집을 선물하는 시대가 돌아오게 된 걸까. 사람을 만나도 진지한 이야기를 나눌 겨를이 없어서일까. 진지한 얘기를 꺼내면 놀림을 받기만 하는 분위기 때문에 진지함은 혼자만의 시간에서나 누려야 할 은밀한 영역이 돼 버린 탓일까. 매정한 시대에 건조한 표정으로 살아야 하는 사람에게 감성의 영역이 복용해야 마땅할 영양제가 된 탓일까. 인간의 얼굴이 도무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실제로 만나는 인간들로부터는 확인받을 길이 없어서 가장 내면의 얼굴을 엿보고 싶은 욕구가 생긴 것일까. 시는 잠깐잠깐 한 편씩 읽을 수 있는 것이어서 늘 시간이 없는 우리에게 용이하게 읽히는 걸까. 말에 대한 피로함과 침묵의 시간에 대한 소중함을 동시에 해갈할 수 있는 영역이어서일까. 어제를 복제한 듯한 오늘을 사는 일이 파리해서 생생하게 살아 있는 목소리 한 자락을 듣고 싶은 간절함 때문일까. 아니면 출구가 모두 봉쇄된 듯한 시스템 안에서 지리멸렬함을 견디다 견디다 자유에 대한 감각이 마비돼 시를 통해서라도 인공호흡을 해 보려는 마지막 도전 같은 것일까.

독자는 가장 듣고 싶은 말이 적혀 있는 시집을 찾아 헤맨다. 꼭 듣고 싶은 한 마디가 시에 적혀 있기를 바란다. 이 시대에 가장 듣고 싶은 말은 무엇일까. 사랑한다는 말도, 희망이 있다는 말도, 인간을 믿어 보자는 말도, 세상은 그래도 아름답다는 말도 뻔히 거짓말인 줄 다 아는 시대다. 어쩌면 뻔한 거짓말이 거짓말이 아닐지도 모른다고 다시 한번 고려하게 만든다는 이유로 시가 다시 읽히는 것은 아닐까. 다시 한번 사람을 믿어 보겠다며, 다른 방식으로 고백해 보고 싶어서 우리는 시집을 선물하게 되는 건 아닐까.
2017-10-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