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국립 한성준 춤 극장’을 꿈꾸며/정재왈 경희대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문화마당] ‘국립 한성준 춤 극장’을 꿈꾸며/정재왈 경희대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입력 2015-11-04 18:26
수정 2015-11-04 18: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한국을 대표하는 무용가 하면 사람들은 으레 최승희를 떠올린다. 일제강점기 신(新)무용의 개척자로 불리는 그는 월북 무용가여서 오랜 기간 한국에선 금기 인물이었다. 1990년대 해금된 후 한국에서도 불세출의 무용가로 칭송받고 있다.

조택원은 최승희와 더불어 1930년대 등장한 또 한 명의 무용가다. 남성 무용수인 그가 무용에 사상(思想)을 입히려 했다면, 최승희는 무용 자체의 아름다움을 추구했다. 이들이 물꼬를 튼 신무용은 일본을 거쳐 들어온 서양 근대 무용의 ‘한국화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당대 기존의 여러 무용과 다르다는 의미에서 신무용이라 했는데, 이는 1930년대 신식 유행 풍조와 무관치 않다.

이 두 명의 스타에 비해 화려하진 않지만 남긴 업적 면에서 ‘우리 춤의 아버지’로 우뚝 선 인물이 바로 한성준(1874∼1942)이다. 까마득한 선배인 그를 거쳐 최승희와 조택원이 비로소 서양식 무용에서 벗어나 한국 무용의 아이콘이 됐다는 게 정설이다. 이들은 한성준에게서 우리 전통 무용의 정신과 가치, 움직임을 배운 뒤 완숙한 경지에 올라섰다.

충남 내포(內浦) 지역 홍성 태생인 한성준은 젊은 시절 명고수로 이름을 날렸다. 판소리에는 ‘1고수 2명창’이란 말이 있는데, 아무리 재주 뛰어난 소리꾼이라도 북 반주자인 고수의 역량에 매여 있다는 의미다. 송만갑, 이동백 등 당대 국창들이 한성준 북 장단에 크게 신세를 졌다. 일찍이 여덟 살 때부터 북채를 잡아 10년 뒤 이미 명인에 올랐다 하니 신기(神技)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조력자의 처지가 그렇듯이 고수 한성준은 당시 언론의 주목을 별로 받지 못했다.

한성준이 명고수를 지나 무용가로 입신한 것은 인생 말년 10여 년을 남겨 둔 시점이었다. 그는 전국 각지를 돌며 전통 무용을 발굴, 집대성해 실내극장 무대에 부지런히 올렸다. 1930년 조직한 ‘조선음악무용연구소’가 구심점이었다. 그렇게 해서 만든 무용이 궁중, 무속, 불교춤 등을 망라해 100여 종에 이르렀다.

조선시대를 거쳐 우리나라에는 오늘날과 같은 실내극장 문화가 없었다. 궁궐 누각이나 정자, 마당, 기방(妓房) 등이 이를 대신했다. 한성준은 일제강점기 많이 건립된 서양식 실내극장에 전통 무용을 끌어들여 무대 예술을 진일보시켰다. 전통 무용을 대표하는 ‘승무’(중요무형문화재 27호)와 ‘태평무’(92호), ‘살풀이’(97호) 등은 한성준이 아니었다면 빛을 보지 못한 소중한 유산이다. 오늘날 전통 무용과 관련한 학교 교육이나 공연은 8할을 그에게 빚을 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주말(8일) 한성준이 유년과 청년 시절을 보낸 내포 지방의 주요 사찰인 예산 수덕사에서 그의 거대한 전통 무악(舞樂) 유산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킬 것인가를 놓고 고향 지역과 서울의 무용가들이 모여 진지한 토론회를 갖는다. 수덕사는 젊은 시절 한성준이 춤과 가락을 연마한 도량이었다. 이날 여러 논의 가운데 시대를 앞서 이끈 창조적 예인으로서 그의 뜻을 기려 ‘한성준 춤 극장’을 국립 이름으로 그의 고향에 설립하자는 제안도 있을 예정이다. 가까운 장래에 해당 지자체와 정부가 힘을 모아 이런 제안이 성사된다면, 지역 유산을 세계화하는 거점으로서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좋은 선례가 될 것이다.

한성준은 그만한 가치를 지닌 우리 모두의 자랑스러운 문화적 자산이다.
2015-11-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