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어느 ‘트랜스포머 극장’의 앞날/정재왈 경희대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문화마당] 어느 ‘트랜스포머 극장’의 앞날/정재왈 경희대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입력 2015-08-12 18:00
수정 2015-08-12 18: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우리나라 사람들은 언제부터 오늘날과 같은 실내극장에서 공연을 보기 시작했을까. 햇수로 치면 100년이 좀 넘었다. 1908년 이인직이 개설해 같은 해 11월 신극 ‘은세계’를 선보인 원각사(圓覺社)가 효시다. 지금의 서울 신문로 새문안교회와 금호아시아나빌딩 사이 골목 안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연극학자들은 원각사를 ‘한국 최초의 근대식 극장’으로 본다. 외관이 선명한 사진 한 장과 극장 내부를 짐작할 수 있는 간략한 도면, 경험자들의 증언 등 객관적인 물증이 남아 있어 그런 평가가 가능했다. 극장은 글자 그대로 원통형의 몸통에 원뿔 지붕을 이고 있고 무대와 명확히 구분된 객석은 등급에 따라 입장료 차이를 두었다. 그런 객석이 500개 남짓이었다.

그로부터 한 세기가 지난 지금 우리나라의 극장 수는 얼마나 될까.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매년 실시하는 ‘공연예술실태조사’(2013년 기준)에 따르면 공연장 시설 수는 984개, 한 시설 내에 들어 있는 개별 극장들을 나눠서 합해 보니 극장 수는 1227개나 됐다. 1990년대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지역 극장 건립 붐이 일면서 공공극장 시대가 열리더니 근자에는 민간 극장이 늘어나는 추세다. 공공과 민간 극장 비율은 45대55로 민간이 약간 앞선다.

이와 같은 극장의 괄목할 만한 양적 성장 덕분에 한국의 공연예술은 그간 많은 발전을 이룩했다. 또한 전국 방방곡곡까지 이 ‘모세혈관’을 타고 공연예술이 확산된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극장은 공연예술 유통의 중심이자 그것이 성립되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다. 한데 여기에도 맹점이 있다.

바로 1000여개의 극장 가운데 300석 이하 소극장은 논외로 하더라도 중·대형 극장의 거의 전부가 한 가지 형태의 극장이라는 점이다. 천편일률적이라는 말이 딱 맞다. 예술의전당이나 국립극장, 세종문화회관 등과 같은 ‘사진틀 무대 극장’이다. 마치 사진틀처럼 생긴 ‘프로시니엄 아치’로 무대와 객석이 엄격히 분리돼 관객은 그 틀 속의 사진을 감상하듯 공연을 본다.

이 때문에 이런 무대 극장에서는 공연이 행해지는 무대와 객석의 깊은 교감은 애당초 불가능하다. 무대의 공연 양식도 사실주의 외에 획기적인 것을 포용하기 어렵다. 부지불식간에 우리는 편식에 익숙해진 것이다. 극장이 애초에 그렇게 생긴 이상 그까짓 극장 하나를 맘대로 요리하지 못하냐고 연출가를 탓할 수는 없는 일이다.

오는 9월 4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 아시아예술극장이 문을 연다. 앞으로 전당 내 다섯 개 주요 공간 가운데 관객들과 수시로 만나야 하는 얼굴이다. 대극장에 해당하는 1120석의 ‘극장1’과 512석의 중극장 ‘극장2’로 구성됐다. 이 극장은 무대와 객석이 마치 트랜스포머처럼 자유자재로 변신이 가능한 ‘가변형 극장’이다. 예의 천편일률에 비춰 보면 신선한 파격이다.

미리 둘러본 사람들 사이에서 설계 부실 등을 지적하며 우려하는 목소리가 없지 않은 것 같다. 하지만 다소의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관습적인 극장 디자인을 탈피한 것은 잘한 일이다. 특히 오늘날 화두인 융복합 예술의 생산과 확산을 지향하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임무를 실현하기 위해서라도 이런 극장은 마땅한 선택이다. 이 ‘트랜스포머 극장’을 좋은 연장으로 삼아 혁신적 예술을 만들어 내는 일은 이제 예술가와 관객의 몫이다.
2015-08-1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