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서민금융에서 새마을금고의 역할/이종욱 서울여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기고] 서민금융에서 새마을금고의 역할/이종욱 서울여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입력 2020-08-03 20:26
수정 2020-08-04 02: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종욱 서울여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이종욱 서울여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가난한 사람을 위한 소액대출 금융(마이크로 크레디트)의 창립자로 칭송받던 ‘그라민은행’의 설립자 무함마드 유누스 총재는 2006년 10월 서울평화상, 같은 해 11월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그는 당시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라민은행의 소액대출은 한국의 새마을금고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말한 바 있다.

새마을금고는 고금리 사채, 도박 등이 만연했던 농촌의 사회적·경제적 폐해를 막기 위해 1963년 시작됐다. 계, 두레, 향악, 품앗이 등 고유의 상부상조 협동정신에 협동조합 원리를 결합한 것이었다. 현재 MG새마을금고는 1315개로 거대한 서민 밀착형 금융기관으로 발전했다. 낮은 신용등급과 담보가 부족한 지역 소상공인과 서민들을 대상으로 예금·대출·공제 등 금융 업무를 주로 하고 있다.

과거 새마을금고는 임직원들과 고객인 지역 소상공인, 서민들이 서로 잘 아는 것이 강점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각 금고가 담당하는 지역이 넓어지면서 과거보다 더 높은 신뢰와 역량이 필요해졌다. 새마을금고도 은행과 같은 엄격한 금융 감독 기준의 적용을 받는 이유다. 다만 이러한 이유로 열정 있는 소상공인이나 서민에게 관계 금융을 통해 저리로 빌려줄 수 있었던 전통을 살리지 못하는 점은 아쉽다.

미국에서는 상호금융이 은행과 다른 신용협동조합의 감독 기준을 적용한다. 하지만 한국에서 새마을금고의 감독 기준은 은행과 큰 차이가 없다. 감독 기관인 행정안전부가 금고 감독을 위임하면서 발생한 문제를 반면교사로 삼아 발전한 감독 체계를 구상해 엄격하게 실행하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라민은행’은 단순하게 부자가 투자한 돈을 가난한 사람들이 자립하도록 대출해 주는 구조다. 반면 새마을금고는 회원들의 저축을 통해 자금을 조성하게 된다. 새마을금고는 그동안 양호한 자금 운용 실적을 거두고 있다. 또 총자산의 약 8%에 달하는 자기자본으로 재무건전성을 유지하고, 전체 예적금의 74%를 대출채권으로 운용해 지역 밀착형 금융기관으로 역할하고 있다. 자립과 협동의 철학, 독창적 운영 방식으로 농촌과 도시 서민 삶의 수준, 지역 발전 향상에 이바지하기도 했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이동성이 축소되면서 비대면 거래, 근거리 소비와 금융활동으로 경제활동이 전환하고 있다. 정부의 소상공인·서민 지원 정책 자금이 성공하려면 은행뿐만 아니라 소상공인과 서민에 밀착된 새마을금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시기가 온 것이다.
2020-08-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