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용준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미국 정부가 틱톡 금지를 추진하는 건 가입자 정보 수집을 통해 국가 안보에 위협을 가한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앞서 중국과 국경 문제로 대치 중인 인도에서도 틱톡을 비롯한 중국산 앱 서비스 59개에 대한 금지 조치를 내린 바 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안보를 비롯한 공공질서 침해를 근거로 내린 결정이었다. 국경이 무의미하게 느껴지던 온라인 앱 서비스 시장에 국가 간의 장벽이 세워지고 있는 셈이다.
미국이나 인도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틱톡에서 수집된 개인정보 데이터가 중국으로 전달되는 것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1월 업데이트된 틱톡의 개인정보 처리 방침에 따르면 틱톡에서 수집하는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장소가 싱가포르나 미국 내 서버일 수 있으며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주요 서버를 유지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자가 급증하는 플랫폼으로서 보다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임을 고지한 것이다. 틱톡에서 수집한 정보가 중국으로 흘러들어 가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명시하는 것이다.
지난해 틱톡은 ‘2019년 하반기 투명성 보고서’를 발간하며 각국 정부의 요청 사항과 관련 내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것을 알린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틱톡은 전 세계 정부 기관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법적 요청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으며 제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하는 콘텐츠 사용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각국의 안보 체계에 협조할 수 있는 대응 방안과 다양한 사용자들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음을 알린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도 불구하고 틱톡을 둘러싼 논란이 불거지는 건 국제정세의 흐름과 깊은 연관이 있다. 중국과의 패권 다툼을 벌이는 미국 정부가 중국을 대표하는 기업과 브랜드에 대한 의혹을 야기함으로써 경제적 실익을 볼모 삼아 협상의 우선권을 쥐겠다는 전략이 엿보인다. 일례로 미국 정부는 지난해 중국의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자사 통신장비를 통해 자국 정보를 빼돌린다며 수출 규제 블랙리스트에 올린 바 있는데 이와 함께 영국을 비롯한 각국에서 화웨이의 5세대 통신 장비를 도입하지 않겠다는 발표가 이어졌다.
트럼프가 틱톡의 사용 제한 가능성을 언급한 이후로 틱톡의 경쟁사로 꼽히는 미국의 스냅챗 주가가 13% 올랐다. IT 전문매체에서는 틱톡에 대한 규제로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비롯한 미국의 사회관계망 서비스를 주도하던 기업들의 반사이익 효과가 상당할 것임을 전망하고 있다. 이는 결국 틱톡의 전 세계적인 성장세가 그만큼 대단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바이기도 하다.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비롯한 글로벌 SNS 플랫폼 역시 정보 보안 문제로 홍역을 치른 바 있다.
그런 관점에서 틱톡이 맞고 있는 현재의 위기는 틱톡의 성장세를 증명하는 동시에 글로벌 기업의 위상이 더 이상 전 세계적인 규모로서 안주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는 사실을 깨닫게 만든다. 아이러니하지만, ‘글로벌이 아니라 로컬’에 답이 있다는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