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
크리스티아나 피게레스 전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총장은 2016년 월드그린에너지포럼에서 “지구온난화를 막지 못하면 아시아권에 엄청난 재앙이 일어날 것”이라며 “한국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에너지를 너무나 쉽게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같은 에너지를 사용하더라도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에서 그 답을 찾아 보자.
행복도시는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친환경 녹색도시’로 설계됐다. 특히 기존의 도시에서는 반영되기 어려웠던 녹지띠와 바람길을 고려한 ‘블루그린네트워크’에 주목했다. 즉 녹지축과 하천의 연결, 바람의 순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유기적인 생태 네트워크를 도시 설계에 반영했다. 자전거 도로망과 산책로를 녹지대와 연계해 단순히 도로 하나를 만들 때에도 환경적인 요인을 고려했다. 기존의 신도시들이 20% 수준의 공원과 녹지를 조성했다면 행복도시는 50% 이상을 녹지하천 보전 지역으로 설정해 쾌적한 주거 환경과 충분한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행복도시는 에너지를 사용할 때에도 청정에너지와 자연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자전거도로와 방음터널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의 경우 국내에서 처음 도입했고, 호수공원 주차장에 설치한 태양광 시설은 한여름의 뙤약볕에서 그늘막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행복도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의 77%를 감축하고 신재생에너지를 25%까지 도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혹자는 “나무가 와이파이를 내뿜었다면 모두가 필사적으로 나무를 심었을 텐데, 안타깝게도 우리가 숨 쉬는 데 필요한 공기밖에 내뿜지 못한다”면서 우리에게 진정으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역설적으로 일깨워 주고 있다. 맑은 공기와 쾌적한 환경 등 당연한 것 같지만 너무나 소중한 가치를 행복도시가 앞장서 실현해 나갈 것이다.
2018-12-05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