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호 대한장애인체육회장
평창패럴림픽 크로스컨트리스키에서 사상 첫 금메달을 딴 신의현은 대한민국에 새 희망을 불어넣었고, 장애인아이스하키는 무한 감동을 안겼다. 장애인 스포츠가 그들만의 리그를 넘어 모두 열광할 수 있는 스포츠 문화로 자리매김했고, 어엿이 대한민국 스포츠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앞선 1988년 서울패럴림픽은 장애인 관련 역사를 바꿔놓았다. 장애인 명칭과 법 개정을 통해 장애인들이 집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후 우리 땅에서 30년 만에 개최된 평창패럴림픽의 붐업은 앞으로 장애인 스포츠에 더 많은 긍정적 변화를 이끌 것이다.
장애인들은 스포츠를 통해 장애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장애인 스포츠에선 선수가 동등하고 공평하게 경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룰을 만든다. 장애 정도에 따라 스포츠 등급을 부여받는다. 신의현은 두 다리 절단으로 좌식 시트에 앉아 출전했다. 함께 경기한 선수 중에는 하반신 마비나 척수 장애인이 있는데 이들도 마찬가지다. 서로 다른 장애를 가진 선수들은 스포츠 등급과 그에 걸맞는 ‘팩터’(스포츠 등급에 따라 기록을 가감하는 시스템)를 적용받고 경기에 나선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게 장애인 스포츠의 기본이며, 사회 통합의 시작점으로 나아갈 수 있다.
장애인은 스포츠를 통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 이는 의료비를 포함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복지 개선으로 이어진다. 아낀 예산은 사회 통합 기반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이렇듯 장애인 스포츠는 장애인 개인과 우리 사회 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럼에도 현실적으론 장애인들이 스포츠에 참여하기 어렵다. 장애인 편의증진법이 있지만 여전히 벽은 높다. 장애인 프로그램과 지도자도 적다. 대중교통 이동으로는 불편이 많고 스포츠 장비 비용 부담도 만만찮다.
그러나 평창패럴림픽이 장애인 스포츠 활성화를 도울 것이라는 기대감을 키웠다. 국민적 관심이 커졌고,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이해의 폭도 넓어졌다. 장애인 스포츠시설 개선과 장비 개발 및 기회 제공, 적재적소의 필요한 재원 투입은 장애인 스포츠를 활성화하는 데 큰 몫을 할 것이다.
장애인은 특별한 혜택을 바라지 않는다. 스스로 선택하고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만을 원한다. 장애인들이 편한 세상이 모두가 편한 세상이라고 한다. 대한민국 인구의 약 5%가 장애인이다. 우리 가족 중 한 명, 혹은 주변 가까이에 장애인이 있다. 장애인만을 위한 것이 아닌 나와 나의 가족, 우리 이웃을 위한 일이며 모두를 위한 일이다. 우리 모두가 살기 좋은 세상을 이룰 때까지, 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꾸준한 관심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
2018-05-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