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트라우마를 대면하는 인간의 용기… 현대인의 진통제가 되다”

[특별기고] “트라우마를 대면하는 인간의 용기… 현대인의 진통제가 되다”

입력 2024-10-14 04:12
수정 2024-10-14 04: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문학평론가 겸 후배 작가 정여울이 본 한강과 그의 작품

폭력·횡포·침묵하는 다수에 저항
피해자에 머물지 않으리란 다짐
인물들의 ‘보이지 않는 연대’까지

현실 속 너무 쉽게 상처받는 우리
한강의 주인공들에게 ‘용기’ 얻어
이미지 확대
광주 북구에 있는 국립 5·18민주묘지에 시민들이 남겨 둔 추모 메모들. 이승원 작가
광주 북구에 있는 국립 5·18민주묘지에 시민들이 남겨 둔 추모 메모들.
이승원 작가


지구가 ‘출렁’하는 느낌, 나의 첫 느낌은 그것이었다. 어둡고 힘겨운 세상에 한줄기 강렬한 빛줄기가 벼락처럼 내리꽂히는 느낌이었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은 수많은 사람에게 ‘아름답고 놀라운 충격’으로 다가왔다. 이런 충격이라면 얼마든지 더 받고 싶다. 한강 작가의 소설을 생각하면 나는 ‘고통 속에서도 결코 가만히 있지 않는 사람들’의 아름다움을 생각하게 된다. 한강 작가의 주인공들은 집단의 폭력, 권력자들의 횡포, 그리고 침묵하는 다수의 무관심에 끊임없이 저항한다. 독자에게는 그들의 끈덕진 저항이 바로 감동의 원천이 된다. 우리는 결코 가만히 있지 않는다는 것. 상처받은 자들은 결코 가만히 피해자의 자리에 머물지 않으리라는 굳은 다짐이 바로 한강 문학의 통주저음으로 흐르고 있다. 그녀의 소설은 마치 오케스트라의 콘트라베이스처럼 묵직하고 든든하게, 음악이 끝나도 가장 길게 남는 여운처럼 우리의 마음에 감동의 포물선을 그린다.

한강 작가의 작품에는 항상 트라우마의 한가운데서 끈질기게 투쟁하는 인간의 아름다움이 반짝이고 있다.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를 통해 전 세계 독자들의 열광적인 사랑을 받은 한강 작가의 작품은 ‘트라우마를 대면하는 인간의 용기’에 관해 생각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트라우마의 한가운데서 결코 그 상처에 굴복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길을 열어 가는 인간의 아름다움. 우리는 바로 그 아름다움을 매일매일 필요로 한다. 현실에서는 너무 자주, 너무 쉽게 상처받는 우리들은 문학작품 속에서 나보다 더 낫게, 나보다 더 용감하게 투쟁하는 주인공들을 만남으로써 ‘용기’라는 이름의 빛나는 진통제를 처방받는다.

이미지 확대
5·18민주화운동 최후의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 현재는 복원공사 중이다. 이승원 작가
5·18민주화운동 최후의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 현재는 복원공사 중이다.
이승원 작가


한강 작가의 작품은 ‘역사 속의 인간’이라는 인류 공통의 화두를 다룬다. 그리고 거대한 역사의 풍랑 속에서 반드시 상처 입을 수밖에 없는 연약한 개인이 마침내 그 트라우마와 정면으로 맞서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 치유하지 못해도 좋고, 극복하지 못해도 좋으니, 끝까지 트라우마를 피하지 않고 온몸으로 맞서는 주인공들이 우리의 마음을 끝내 울린다. ‘여수의 사랑’, ‘검은 사슴’ 등 한강 작가의 초기 작품에서도 이미 나타나 있던 사유의 씨앗, 희망의 씨앗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한 개인은 역사 속의 무력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 자신의 가장 작은 자리, 소박한 자리에서도 눈부신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소년이 온다’에서 그 어린 소년들, 청년들은 참혹하게 죽을 것을 알면서도 ‘여기 있겠다’고 결심하고, 끝까지 서로의 곁을 지켜준다. ‘소년이 온다’를 읽으며 나는 서로의 상처를 결코 외면하지 않겠다고 결심한 모든 사람들의 마음이 바로 ‘여전히 살아 있는 광주’임을 깨달았다. ‘광주’는 이제 1980년만이 아니라 “당신이 죽은 뒤 장례식을 치르지 못해, 내 삶이 장례식이 되었습니다”라고 속삭이는 ‘소년이 온다’의 문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모든 사람들의 가슴속에 영원히 살아 있을 것이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에서 주인공들의 선택은 ‘무력한 한 개인이 도대체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절망감에 빠진 현대인들에게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용기와 희망을 준다. 대단한 엘리트들이나 엄청난 권력자들만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아무 힘없는 개인으로 보이는 작고 연약한 존재들이 역사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나는 한강의 소설을 통해 배웠다. 한강 소설에서는 ‘고통받는 사람들’이 가장 존엄한 사람들이다. 상처 속에서 길을 잃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처를 통해 더 아름다운 생의 길을 만들어 나가는 사람들이 우리에게 용기를 준다. 남녀노소의 경계는 물론 국경이나 시공간의 경계를 뛰어넘어 우리 인류가 함께할 수 있는 가치는 바로 ‘트라우마를 간직한 사람들의 보이지 않는 연대’가 아닐까. 그 보이지 않는 연대감을 마침내 눈앞에 생생하게 보이게 하는 것이 소설의 힘, 문학의 힘일 것이다.

한강의 주인공들은 멀리서 보면 아주 연약해 보인다. 하지만 가까이서 보면 그들이 마침내 가장 강인한 존재들임을 알 수 있다. ‘소년이 온다’의 ‘에필로그’에는 한강 작가가 ‘동호’의 형을 만나는 장면이 나온다. 형은 동호의 이야기를 소설로 쓰는 것을 허락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대신 잘 써주셔야 합니다. 제대로 써야 합니다. 아무도 내 동생을 더이상 모독할 수 없도록 써주세요.” 그 말 속에 1980년 광주의 모든 트라우마가 응축돼 있는 듯했다. 이제 아무도 ‘광주의 원혼들’을 모독할 수 없을 것이다. ‘소년이 온다’는 마침내 우리 모두에게 제대로 왔으므로. 소년은 영원히 ‘가 버린’ 것이 아니라, 트라우마를 이해하고 트라우마에 공감하는 모든 사람들, 문학을 사랑하고 한강 작가를 사랑하는 모든 독자들에게 영원히 힘찬 발걸음으로 ‘오고’ 있으므로.

정여울 문학평론가·작가

이미지 확대
정여울 문학평론가·작가
정여울 문학평론가·작가
2024-10-14 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금투세 유예 vs 폐지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 여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를 당론으로 정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예와 폐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예와 폐지, 두 가지 선택이 있다면 당신의 생각은?
유예해야 한다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