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의 활발발] 다른 길, 여러 길, 나만의 길

[법인의 활발발] 다른 길, 여러 길, 나만의 길

입력 2018-09-10 17:44
수정 2018-09-10 19: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얼마 전 눈이 맑고 가슴이 따뜻한 시인이 고등학생 아들과 함께 왔다. 차를 마시며 이런저런 말을 나누다가 앞으로 어떻게 살고 싶은지를 물었다. 학생은 대뜸 군인이 되고 싶다고 답했다. 순간 아차 했다. 나는 ‘어떻게’를 물었는데 그는 ‘무엇’으로 이해했던 모양이다.
이미지 확대
앞길이 창창한 그가 어떻게 삶의 의미를 찾고, 어떻게 설렘과 감동으로 가슴을 채울지가 궁금했는데 말이다. 어찌 보면 꿈이 무어냐고 물으면 대개 직업을 말하는 세상에 새삼스러울 일도 아니겠다 싶었다.

“시인 아들이 전쟁을 준비하는 군인이 되겠다니 좀 당혹스럽네.” 모순이 있는 질문인지 알면서도 짐짓 그렇게 물었다. 많은 시간이 앞에 있고 여러 선택을 할 수 있는 나이에 왜 일찍 특정 직업을 했는지를 알고 싶었다.

학생의 생각은 분명했다. 지금 취업 현실을 보니 군인이 안정된 직장 중의 하나고, 군인연금이 탄탄하기 때문에 퇴직 이후 노후의 삶도 불안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자기는 안정된 생업을 가지고 그저 평범하고 무난하게 살고 싶다고 한다. 가슴이 먹먹했다. 이런 아들이 안타까워 아버지는 여기에 왔으리라. 차담을 마무리하면서 나는 그가 숙고할 만한 나름의 화두를 건넸다. 그 화두는 ‘다른 길, 여러 길, 나만의 길’이다.
법인 대흥사 일지암 주지
법인 대흥사 일지암 주지
한 나라의 태자로 태어난 고타마 싯다르타의 길은 왕위 계승이라는 하나로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그는 다른 길을 선택했다. 왜 당연한 길을 포기했을까? 그 길이 자신에게는 맞지 않을 것이라는 예감과 확신이었다. 세상 모든 사람은 누구나 노쇠와 소멸의 한계에 갇혀 있다. 그럼에도 멈추지 못하는 소유와 감각의 소비에 갇혀 있다. 소유와 소비의 즐거움은 잠시, 불안과 고통의 후유증은 길고 험하다. 또 사람과 사람이 모여 사는 사람들의 모습은 어떠한가? 허구적 신화와 관념으로 계급과 신분을 만들어 사람이 사람을 억압하고 괴롭힌다. 다른 길을 찾아보자. 그렇다면 길은 하나만 있지 않을 것이다. 나도 복되고 모두가 자유롭고 평온을 누릴 수 있는 여러 가지 길들이 있을 것이다. 그 길 중에 내게 맞는 나만의 길이 보였다. 그 길은 출가였다.

출가는 살던 집에서 떠나는 삶을 말한다. 그런데 단순히 공간적 이동이나 종교적 선택만을 뜻하지 않는다. 삶의 가치와 방식의 큰 전환을 진정한 출가라고 한다. 그러므로 누구나 출가할 수 있다. 진정한 행복과 감동으로 자기 생애를 가꾸고자 하는 사람들은 결연한 의지로 출가를 선택해야만 한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출가를 꿈꾸고 결행하고 있는 사람들을 보게 된다. 곳곳에서 대안을 찾아 새로운 살림을 모색하고 실현하고 있는 공동체 운동이 다름 아닌 출가자의 모습이다. 생각해 보면 부처와 예수는 대안과 공동체 운동의 원조라고 할 수도 있겠다. “미래의 부처님은 공동체의 모습을 하고 오실 것이다.” 플럼 빌리지 틱낫한 스님의 예언이다.

얼마 전 지인이 도움될 것이라며 내게 ‘우린 다르게 살기로 했다’(조현 지음)는 제목의 책 한 권을 건넸다. ‘혼자는 외롭고 함께는 괴로운 사람들을 위한 마을 공동체 탐사기’라는 부제를 보고 이내 이심전심의 미소가 절로 지어졌다. 본문을 펼치지 않아도 ‘혼자서도 넉넉하고 함께하면 사랑이 넘치는’ 삶을 지향하는 사람들이 보이는 듯했다. 펼쳐 보니 돈이 없어도 배울 수 있고,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운 당당한 삶이 보였다.

“여기선 아이들 얼굴 보기가 어려워요. 그만큼 아이들끼리 재미있게 놀지요. 도시 사람들은 이곳 아이들이 심심해서 못 견뎌 할 것 같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아요. 비교 대상이 많은 도시 아이들은 혼자 있는 것을 잘 견디지 못하지만, 비교 대상이 없으면 오히려 주어진 삶에서 재밋거리를 찾아 잘 노는 것 같아요. 어른들은 늘 비교하면서 불만도 생기고, 괴로워하고 부러워하지만, 아이들은 훨씬 그게 덜하고 잘 적응하면서 놀아요.” 예수살이 공동체 산 위의 마을 박기호 신부의 생생한 행복 현장 증언이다.

다시 부언하고자 한다. 혼자서도 넉넉하고 함께하면 행복한, 다른 길, 나만의 길은 곳곳에 있다. “길은 가면 뒤에 있다”고 하지 않는가.
2018-09-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