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미의 노래하기 좋은 계절] 노동도 아무렇지 않게 노래하고 싶다

[이영미의 노래하기 좋은 계절] 노동도 아무렇지 않게 노래하고 싶다

입력 2018-04-30 17:52
수정 2018-04-30 17: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영미 성공회대 대우교수·대중예술평론가
이영미 성공회대 대우교수·대중예술평론가
우리는 오랫동안 노동자를 노동자라 부르기를 꺼려했다. 글을 쓸 때 머릿속에서 ‘노동자’란 말이 떠올라도 바로 ‘근로자’로 바꾸어 썼다. 전 세계가 함께 기념하는 노동절인 메이데이도 오랫동안 기념일이 되지 못했다. 1958년부터 한국노총 창립일(3월 10일)을 ‘근로자의 날’로 명명해 노동절을 대신했다.

1987년 이후 대중적 노동운동의 시대가 열리면서 3월 근로자의 날을 거부하고 메이데이를 기념하는 흐름이 거세졌고, 1990년에는 한국노총조차 5월 1일에 공식 행사를 열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1994년 문민정부 시대에 들어서서야 메이데이는 공식적인 기념일이 됐는데 여전히 명칭은 ‘노동절’이 아니라 ‘근로자의 날’이다. 분단으로 인한 ‘레드 콤플렉스’는 이렇게 우리 삶의 곳곳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사회의 어두운 측면을 잘 포착하는 소설 분야에서조차 노동 쟁의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것은 1970년 황석영의 ‘객지’에서부터였으니, 대중가요는 더 말해 무엇 하랴. 아직도 육체노동, 하급 서비스노동의 삶은 대중가요에서 거의 다루지 않는 소재다. 대다수의 사회 구성원의 일상적 삶이 이토록 노래로 불리기 힘들다는 것은 참 희한한 일이다.

민요를 살펴보면 대중가요의 이런 경향이 일종의 편향이라는 것이 확연히 느껴진다.

(뒷소리) 어어 어어이 / 허허허으 을라차아 / 어어어허 어어 어허허으허 을라차

1. 바늘 같은 허리에다 / 태산 같은 짐을 지고 / 이 고개를 어허 / 어이 넘을소냐 / (뒷소리)

2. 일락서산 해는 지고 월출동력 달 돋아오는구나 / (뒷소리)

3. 여보시오 주인님아 / 닭 잡고 술을 내어 / 욕본 일꾼 / 멕여를 주소 / (뒷소리) - ‘등짐소리’(전북 익산 민요, 1971년 민속학자 임석재 채록)

‘바늘 같은 허리’와 ‘태산 같은 짐’의 대조는 노동의 힘겨움을 아주 간명하고도 실감나게 드러낸다. 전남 장성의 ‘두엄 내는 소리’나, 전북 부안의 ‘나락등짐소리’에도 비슷한 가사가 있으니, 이 기막힌 표현이 참 많은 농사꾼들의 심금을 울렸던 모양이다.

그런데 전통적 사회보다 훨씬 자유롭다는 근대사회이건만, 대중가요는 이런 표현을 거의 하지 못했다. 육체노동은 ‘근로’ 즉 ‘열심히 일하는 것’, 그래서 보람찬 내일을 꿈꾸는 내용으로만 허용될 뿐 일하는 사람의 희로애락의 다양한 감정이 고루 표현될 수 없었다.

내 사랑 외로운 사랑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인가요 / 사랑의 노래를 불러 보고 싶지만 마음만으로는 안 되나 봐요 / 공장의 하얀 불빛은 오늘도 이렇게 쓸쓸했지요 / 밤하늘에는 작은 별 하나가 내 마음같이 울고 있네요 / 눈물 어린 내 눈 속에 별 하나가 깜빡이네요 / 눈을 감으면 흘러내릴까봐 눈 못 감는 내 사랑 / (중략) / 눈을 감으면 흘러내릴까봐 눈 못 감는 서글픈 사랑 / 이룰 수 없는 내 사랑 - 김광석 ‘외사랑’(1992, 한돌 작사·작곡)

이 노래는 1984년 신형원의 목소리로 처음 취입됐으나, 가사의 한 부분이 잘린 상태였다. ‘공장’이 문제였다. 결국 ‘공장의’를 ‘내 마음’으로 바꾸고서야 검열을 통과했다. 세상이 바뀌어 대중적 노동운동의 시대가 열린 이후에야 비로소 ‘공장’이란 말을 되살려 어렵사리 합법적 음반에 담을 수 있었다. 당시 검열 기준은 미풍양속을 해치거나 국가 위신을 손상하거나 헌법 질서를 문란케 하는 대중가요를 불허한다는 것이었다.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공장을 배경으로 한 짝사랑의 노래가 왜 이런 기준에 걸려야 하는지 헛웃음이 나올 뿐이다.

지금은 얼마나 달라져 있을까.

여전히 5월 1일이 ‘노동절’이 아닌 ‘근로자의 날’이다. 노동, 공장 같은 말을 넣어 대중가요를 지어 불러도 불편하지 않은 세상은 아직도 오지 않았다.
2018-05-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