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고통, 병원 혼란 날로 가중
의대 증원해도 공존할 해법 가능
국립중앙의료원 야간·휴일 비상진료 운영
일요일인 25일 오후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국립중앙의료원은 평일 야간 17시 30분부터 20시까지, 휴일 9시부터 12시까지 비상진료를 운영한다. 연합뉴스
빅5 병원 의사의 40%를 차지하는 전공의 80%가 현장을 떠나면서 상급종합병원의 기능은 현저히 떨어졌다. 상급병원에 가지 못한 환자들이 2차 병원으로 몰리고 이들 병원마저 밀려드는 환자들로 비명을 질렀다. 지난 주말도 아픈 몸을 치료하기 위해 전국을 헤매는 ‘유랑 환자’들의 아우성이 가득했다. 응급환자를 받아 줄 병원을 찾아 빙빙 도는 비극 아닌 비극은 새달 초 극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6차 항암치료까지 받고 3월 말에 수술받을 예정이던 환자가 돌연 병원 측으로부터 수술을 미루자는 연락을 받는 등 환자들의 고통이 극심해지고 있다.
전공의들 파업으로 인한 피해는 이론의 여지 없이 의사들 책임이다. 전공의 집단 사직과 병원 이탈의 민형사상 책임은 둘째치고라도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한 의사들이 제 밥그릇 지키자고 ‘의대 증원’에 반대하고 나선 집단 행위는 용납할 수 없다. 여론조사에서 70~80%의 국민은 의대 증원에 찬성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인구 1000명당 의사수가 2.6명으로 바닥권인 대한민국에서 의대 증원으로 의사 과잉 상태가 된다는 주장은 궤변에 불과하다.
환자는 돈벌이 대상이 아니다. 생명 구제와 치유를 최우선으로 여기는 의사라면 먼저 의료 현장에 복귀해야 한다. 전공의들, 기존의 의대생과 5년간 증원에 의해 늘어날 예비 의사가 공존할 길은 얼마든지 있다. 공존의 길을 모색하려면 대화는 불가피하다. 의대 교수들조차 “전공의와 학생들은 희망을 갖고 환자에게 돌아오라”고 호소했다. 의료의 질을 선진국 수준에 맞추려면 의대 증원은 불가피하다. 정부와의 대화 창구도 열려 있다. 의대 교수들이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고 나섰다. 의정(醫政) 대화를 재개해 파국을 막아야 한다. 공공의 이익을 중시한다면 전공의들은 조속히 현장에 복귀해야 할 것이다.
2024-02-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