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아시아나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매각하기로 하자 아시아나항공의 주가가 급등했다. 매각 결정으로 아시아나항공이 금호그룹과 결별하면서 경영 정상화의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재계의 충격과 달리 시장과 투자자들의 냉정한 평가가 기업 경영인에게 보내는 시사점이 크다. 한국 재벌의 방만한 재래식 경영으로는 시장경제에서 버틸 수 없다는 강력한 경고다.
한때 재계 7위까지 올랐던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아시아나항공이 매각되면 60위권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매각 결정은 자금난에 허덕이는 아시아나항공의 부도를 막으려는 벼랑 끝 카드다. 사실상 지주회사인 금호산업이 아시아나항공의 지분 33.47%를 팔아 경영에서 손을 떼면 채권단은 수천억원 규모의 자금을 수혈해 경영 정상화에 들어간다. 국내 2대 항공사가 시장에 매물로 나온 현실은 씁쓸하지만, 대책 없는 파산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파장을 최소화했다는 점에서는 불행 중 다행이다.
아시아나항공의 만성 자금난은 건실한 재무구조를 만들기보다는 2006년 대우건설, 2008년 대한통운 인수 등 무리한 규모 확장에 눈이 어두웠던 방만한 경영 방식 때문이었다. 2009년에는 주력 계열사인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가 워크아웃에 들어가는 위기를 겪었다. 급기야 올 연말 갚아야 할 부채 1조원을 감당하기 어려운 위기 상황에까지 직면했다. 누적된 부실 경영에도 안이한 자구안을 또 내놓자 채권단은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최종 판단한 것이다.
대기업들이 이번에 뼈아픈 교훈을 얻어야 한다. 엉터리 경영을 해도 ‘혈세’인 공적 자금을 수혈받을 수 있다는 구태의연한 인식에서부터 당장 벗어나야 한다. 고인이 된 조양호 전 대한항공 회장의 사내 이사 탈락으로 먼저 확인했듯 창업자 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제왕적 경영 방식이 통하던 시대는 막이 내리고 있다.
한때 재계 7위까지 올랐던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아시아나항공이 매각되면 60위권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매각 결정은 자금난에 허덕이는 아시아나항공의 부도를 막으려는 벼랑 끝 카드다. 사실상 지주회사인 금호산업이 아시아나항공의 지분 33.47%를 팔아 경영에서 손을 떼면 채권단은 수천억원 규모의 자금을 수혈해 경영 정상화에 들어간다. 국내 2대 항공사가 시장에 매물로 나온 현실은 씁쓸하지만, 대책 없는 파산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파장을 최소화했다는 점에서는 불행 중 다행이다.
아시아나항공의 만성 자금난은 건실한 재무구조를 만들기보다는 2006년 대우건설, 2008년 대한통운 인수 등 무리한 규모 확장에 눈이 어두웠던 방만한 경영 방식 때문이었다. 2009년에는 주력 계열사인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가 워크아웃에 들어가는 위기를 겪었다. 급기야 올 연말 갚아야 할 부채 1조원을 감당하기 어려운 위기 상황에까지 직면했다. 누적된 부실 경영에도 안이한 자구안을 또 내놓자 채권단은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최종 판단한 것이다.
대기업들이 이번에 뼈아픈 교훈을 얻어야 한다. 엉터리 경영을 해도 ‘혈세’인 공적 자금을 수혈받을 수 있다는 구태의연한 인식에서부터 당장 벗어나야 한다. 고인이 된 조양호 전 대한항공 회장의 사내 이사 탈락으로 먼저 확인했듯 창업자 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제왕적 경영 방식이 통하던 시대는 막이 내리고 있다.
2019-04-17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