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강의 맨부커상 수상, 한국문학의 경사다

[사설] 한강의 맨부커상 수상, 한국문학의 경사다

입력 2016-05-17 18:10
수정 2016-05-17 19: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소설이 세계 무대에서 마침내 통했다. 서울신문 신춘문예(1994년)로 등단한 소설가 한강의 맨부커상 수상은 한국문학의 역사를 새로 썼다는 헌사가 결코 아깝지 않은 쾌거다. 맨부커상은 노벨문학상, 공쿠르상과 함께 세계 3대 문학상으로 꼽힌다. 그만큼 영·미권 문학시장에서의 영향력은 지대하다. 비(非)영연방 작가에게 주는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을 수상한 것은 아시아를 통틀어서도 첫 기록이다. 세계 문단의 주목을 받게 된 한국 문단으로서는 묵은 갈증을 한꺼번에 날리는 단비가 아닐 수 없다.

안타깝게도 세계 문학시장에서 한국문학은 지금껏 변방을 벗어나지 못했다. 케이팝 열풍으로 세계 무대를 그렇게 주름잡으면서도 문학만큼은 제3세계 수준 이상의 대접을 받지 못했다. 그런 우리 문학이 세계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이번 수상의 의미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최종 후보에 올라 경쟁했던 작가들 중에는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오르한 파무크 등도 끼어 있었다. 그런 쟁쟁한 후보들의 프리미엄을 제치고 세계가 우리 문학의 성취를 알아본 것이다.

수상작 ‘채식주의자’는 지난해 1월, 올해 1월 각각 영국과 미국에서 출간됐다. 출간 당시 현지 언론들의 반응은 예상 밖으로 뜨거웠다. “한국 현대문학 중 가장 특별한 경험”, “초현실주의에 기반을 둔 폭력적이고도 관능적인 소설”이라는 극찬을 받았다. 한국문학 소재의 지엽성을 벗어나 인간 폭력성을 탐구한 보편적 주제로 작품을 인정받은 것도 의미가 각별하다.

이번 결실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았다. 세계 독자와 교감하려는 문단과 출판계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다. 프랑스 등 유럽시장에서 한국문학이 꾸준히 번역, 출간되면서 독자 규모는 크지 않지만 유의미한 호평을 이끌어 냈다. 그런 가운데 2012년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가 구미 시장에서 크게 인기몰이를 하면서 우리 현대소설이 동시대 세계인들의 감수성을 공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한국 문단에 관심이 없던 해외 출판사들이 최근 몇 년 새 우리 젊은 작가들을 부쩍 주목하는 현실이다.

해외에서 한국문학의 위상은 이제 눈에 띄게 달라질 것이다. ‘내수용’ 한계를 넘어 세계시장에서 우리 문학의 영역을 꾸준히 확장하기 위해서는 그러나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우리 작가들의 뛰어난 기량이 세계 무대에서 제대로 빛을 보려면 첫째도 둘째도 양질의 번역이 열쇠다. 번역 출판의 수준을 높이지 않고서는 세계 문학상 시상대에 우리 작가가 다시 올라가는 일은 기대하기 어렵다.

‘채식주의자’는 “감성적 문체에 숨이 막힌다”는 해외 평단의 찬사를 들었다. 원작의 힘이 제아무리 대단한들 우리말의 행간과 뉘앙스를 살려 주는 좋은 번역이 전제되지 않았더라면 이런 경사는 끝내 꿈이었을 수 있다. 수상작을 번역해 공동 수상한 영국인 번역자는 6년 동안 독학으로 한국어를 배웠다. 박수만 보낼 일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냉정히 반성해 볼 몫이 크다. 훌륭한 번역자를 만나는 것이 작가와 작품의 복불복이어서는 ‘문학 한류’를 일궈 갈 수 없다.
2016-05-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