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어제 당선 이후 첫걸음으로 국립현충원 이승만·박정희 두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했다. 방명록에는 “모든 역사가 대한민국”이라고 적고, 화해와 통합을 강조하면서다.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만 참배했던 대선 후보 때에 비해 달라진 모습이다. 대표 취임 일성으로 박근혜 정부와의 전면전을 예고했던 것과는 결이 다른 행보다. 문 대표가 강조한 ‘통합의 정치’가 그저 대선을 겨냥한 정치적 수사에 그쳐선 안 될 것이다. 야권이 대안 없는 선동성 비판으로 정부·여당에 대한 국민의 반감을 증폭시키려다 외려 국민의 신뢰를 스스로 좀먹는 구태에서 벗어나길 바란다.
국민 다수가 문 대표의 이·박 두 전직 대통령 묘소 참배를 긍정 평가하는 까닭이 무엇이겠나. 국민 통합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친노 세력의 대표 주자인 그는 “이승만 전 대통령은 건국에 공이 있고, 박정희 전 대통령은 산업화에 공이 있다”고 참배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런 평가는 어쩌면 수권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새정치연합 측이 반겨야 할 일이다. 우리의 현대사가 독재나 장기 집권으로 굴곡은 많았지만, 온 국민이 함께 땀흘려 선진국 문턱까지 도약한 성취마저 부정할 이유는 없다. 그런데도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역사”(노무현 전 대통령)라는 삐뚤어진 인식에 머무는 한 야권의 지지 기반 확대는 요원한 일일 수도 있다.
문 대표의 현충원 참배에는 신임 최고위원들과 소속 의원 50여명이 동행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이 두 전직 대통령 묘역은 끝내 외면했다. ‘통합의 정치’가 레토릭으로선 쉽지만 실천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역설적으로 보여 준 진풍경이다. 문 대표의 현충원 나들이가 한낱 대선용 원맨쇼가 아님을 입증하려면 후속 행보가 중요하다. 우선 당내에서 진정한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지난 대선 패배나 지난해 7·30 재·보궐 선거의 참패 등 야당의 연이은 좌절은 여권과 충분히 각을 세우지 않아서가 아니라 ‘반대를 위한 반대’에 매몰된 결과임을 깨달아야 한다.
물론 현 정부에 대한 야당의 견제와 비판은 당연하다. 문 대표가 이날 박근혜 정부에 화해와 통합의 길을 가도록 촉구한 것도 원칙적으로 수긍이 간다. 현 정부가 인사편중 등으로 국민통합에 역행한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지 않은가. 하지만 엄연히 상대가 있는 마당에 여야 어느 한쪽에만 통합의 정치를 주문하는 건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는 논쟁만큼 무익하다는 생각이다. 문 대표는 이날 생뚱맞게도 현 정부가 국민통합을 깬 대표적 사례로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가 북한 지도자와 함께한 6·15, 10·4 공동선언을 실천하지 않는 것”을 지적했다.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무력화하려는 빌미를 준 내용을 포함해 남남 갈등의 도화선이 된 10·4 공동선언을 덜컥 합의해 차기 정부에 엄청난 부담을 준 사실을 안다면 할 수 없는 주장이다. 끝없는 정쟁이 한국 정치의 가장 큰 고질이고, 이제 국민은 이런 이분법적 진영 논리에는 넌더리를 내고 있다. 부디 여든 야든 통합의 정치를 먼저 실천하는 쪽이 민심을 얻게 될 것임을 인식하기 바란다.
국민 다수가 문 대표의 이·박 두 전직 대통령 묘소 참배를 긍정 평가하는 까닭이 무엇이겠나. 국민 통합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친노 세력의 대표 주자인 그는 “이승만 전 대통령은 건국에 공이 있고, 박정희 전 대통령은 산업화에 공이 있다”고 참배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런 평가는 어쩌면 수권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새정치연합 측이 반겨야 할 일이다. 우리의 현대사가 독재나 장기 집권으로 굴곡은 많았지만, 온 국민이 함께 땀흘려 선진국 문턱까지 도약한 성취마저 부정할 이유는 없다. 그런데도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역사”(노무현 전 대통령)라는 삐뚤어진 인식에 머무는 한 야권의 지지 기반 확대는 요원한 일일 수도 있다.
문 대표의 현충원 참배에는 신임 최고위원들과 소속 의원 50여명이 동행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이 두 전직 대통령 묘역은 끝내 외면했다. ‘통합의 정치’가 레토릭으로선 쉽지만 실천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역설적으로 보여 준 진풍경이다. 문 대표의 현충원 나들이가 한낱 대선용 원맨쇼가 아님을 입증하려면 후속 행보가 중요하다. 우선 당내에서 진정한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지난 대선 패배나 지난해 7·30 재·보궐 선거의 참패 등 야당의 연이은 좌절은 여권과 충분히 각을 세우지 않아서가 아니라 ‘반대를 위한 반대’에 매몰된 결과임을 깨달아야 한다.
물론 현 정부에 대한 야당의 견제와 비판은 당연하다. 문 대표가 이날 박근혜 정부에 화해와 통합의 길을 가도록 촉구한 것도 원칙적으로 수긍이 간다. 현 정부가 인사편중 등으로 국민통합에 역행한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지 않은가. 하지만 엄연히 상대가 있는 마당에 여야 어느 한쪽에만 통합의 정치를 주문하는 건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는 논쟁만큼 무익하다는 생각이다. 문 대표는 이날 생뚱맞게도 현 정부가 국민통합을 깬 대표적 사례로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가 북한 지도자와 함께한 6·15, 10·4 공동선언을 실천하지 않는 것”을 지적했다.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무력화하려는 빌미를 준 내용을 포함해 남남 갈등의 도화선이 된 10·4 공동선언을 덜컥 합의해 차기 정부에 엄청난 부담을 준 사실을 안다면 할 수 없는 주장이다. 끝없는 정쟁이 한국 정치의 가장 큰 고질이고, 이제 국민은 이런 이분법적 진영 논리에는 넌더리를 내고 있다. 부디 여든 야든 통합의 정치를 먼저 실천하는 쪽이 민심을 얻게 될 것임을 인식하기 바란다.
2015-02-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