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문의 비인간성 일깨우고 떠난 김근태

[사설] 고문의 비인간성 일깨우고 떠난 김근태

입력 2011-12-31 00:00
수정 2011-12-3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권위주의 정권 시절 민주화 운동에 앞장섰던 김근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어제 64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유감스럽게도 그의 죽음이 엄혹했던 5공 정권 때 당한 혹독한 고문의 후유증과 무관치 않다는 얘기가 들린다. 비록 그는 안타깝게 생을 마감했지만, 이제 이 땅에서 고문과 같은 비인간적인 인권 유린이 사라지도록 하는 것은 살아남은 우리 모두의 몫이다.

그가 영면했다는 소식에 여야나 정파를 떠나 많은 이들이 깊은 애도를 표시했다. 그만큼 고인이 민주화에 대해 일관성 있는 원칙을 지켰음을 인정한다는 징표다. 그가 고초를 겪은 것은 유신 및 5공 시절 민청련·전민련 등 재야 단체에서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수배와 투옥을 당할 때만이 아니었다.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이끌던 새정치국민회의에서도 1인 독식 중단과 동교동계 해체 등 당내 민주주의를 주장하다 눈총을 받기도 했다. 특히 2002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때 불법 정치자금에 대한 양심고백으로 스스로 불이익을 자초하는 원칙주의자의 면모를 보여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냉전기의 색깔론이 배회하던 5공 시절 억울하기 짝이 없는 피해를 당했다. 당시 공안 당국이 그를 송두율이나 윤이상 등 나중에 북한과 직·간접 연계 사실이 드러난 인사들과 동렬에 놓고 용공 혐의를 들씌우려 했기 때문이다.

당시 그가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 기술자’라는 이근안씨에게 가혹한 고문을 당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의 직접적 사인이 뇌정맥혈전증 합병증이라고 하지만, 그가 고문 후유증인 파킨슨병을 수년째 앓아 왔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그가 우리 사회의 인권 신장과 민주화를 위해 온몸을 던져 사심 없이 헌신한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의 영전에 심심한 조의를 표하면서 그의 희생이 고문과 같은 폭력적·반인륜적 공권력 행사가 근절되는 계기가 되길 간절히 바란다.

2011-12-31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