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장철’ KTX 제작·정비시스템 새로 짜라

[사설] ‘고장철’ KTX 제작·정비시스템 새로 짜라

입력 2011-07-19 00:00
수정 2011-07-19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TX가 또 섰다. 이번엔 사흘 동안 세 차례나 섰다. KTX는 ‘고장철(鐵)’이란 불명예 기록을 올해만 해도 36차례로 늘렸다. 새 열차에서 연기가 발생하고, 또 다른 KTX 2대는 터널 안에서 갑자기 멈춰 서고, 냉방장치가 고장났다. 승객들은 9.975㎞나 되는 터널 안에 갇히는 등 한 시간 넘게 찜통열차에서 생고생을 했다. 일부 승객은 실신 상태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더 늦기 전에 이런 고장들이 왜 일어나는지 근본적인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정비 과정은 물론 부품 공급, 조립 체계 등 제작 과정까지 빠짐없이 들여다보고 빈틈을 찾아야 한다.

KTX는 지난 2004년부터 본격 운행된 프랑스제 KTX와 지난해 3월 개통된 국산 KTX 산천 등 두 가지가 있다. 프랑스제 KTX의 경우 시험운행 기간을 포함하면 10년이 지나 노후화의 길을 걷고 있다. 코레일은 항공기 수준으로 정비하겠다며 올들어 정비 매뉴얼을 강화했다. 그 매뉴얼에 따라 예방정비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다면 사고가 이 정도로 빈발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 매뉴얼이 적정한지, 그 매뉴얼대로 이행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 주요 부품 교체는 물론이고 나사 하나 조이는 과정에서도 허술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KTX 산천의 경우 탈선에 기관 고장, 통신장애, 배터리 고장, 동력장치 이상, 난방기 가동 중단 등 고장사고가 무차별적이다. KTX는 시속 300㎞에 육박하는 속도로 질주하는 만큼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겨우 1년 남짓 지난 새 열차가 이토록 고장들이 잦다면 정비 이상은 물론이고 제대로 만든 것인지도 의심스럽다. 제작회사는 물론이고 협력업체들이 공급하는 부품에 대해서도 점검하는 시스템이 완비돼야 한다.

오는 2015년 세계 철도시장 규모는 1600억 유로(약 250조원)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다섯 번째로 고속철 생산국이 되면서 해외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그 꿈을 이루려면 고장철을 안전철로 바꾸는 게 우선이다. 코레일의 안전의식은 믿을 수 없는 지경에 와 있다. 양건 감사원장이 어제 간부회의에서 코레일을 대상으로 전면 감사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각 실행에 옮겨야 한다.
2011-07-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