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본의 ‘한국 배우기’에 우쭐할 때 아니다

[사설] 일본의 ‘한국 배우기’에 우쭐할 때 아니다

입력 2010-03-06 00:00
수정 2010-03-0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일본에서 기분 좋은 뉴스들이 쏟아지고 있다. 한국의 대중문화를 즐기던 한류에서 그치지 않고 숫제 한국을 배우자는 열풍으로 번졌다. 일본은 UAE 원전 수주전에서 한국에 패배하고, 캐나다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0’의 수치를 경험하더니 달라졌다. 소니가 전자제왕 직위를 삼성에 빼앗기고, 도요타가 미국에서 현대차에 시장을 내주는 것도 일본을 일깨우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일본을 가르칠 만큼 성장했다고 우쭐할 때가 아니다. 제2의 도약을 하느냐, 미래 없는 흥분에 머무느냐의 또 다른 갈림길에 서 있을 뿐이다.

일본의 한국 배우기는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우리는 1881년 선진문물을 배우기 위해 일본에 신사유람단을 파견했다. 1970~80년대에는 삼성을 비롯해 한국 기업들은 일본 배우기에 여념이 없었다. 이젠 어떤가. 일본 정부는 공무원을 서울로 급파해 밴쿠버 신화를 이뤄낸 스포츠 체계 전반을 견학할 예정이다. 최대 경제신문인 니혼게이자이는 한국 기업을 본받자는 통사설을 내보냈다. 일본이 날로 치솟는 한국의 위상을 인정하기 시작했고, 그 속도에 위협을 느끼고 있다는 얘기다.

일본은 곧 중국에 추월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세계 2위의 경제강국이다. 그런 일본이 한국을 배운다고 해서 우리가 자만하는 것은 금물이다. 2030년까지 원전 3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비전만 해도 쉽지 않다.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는 정권 차원에서 원전 수주전을 진두지휘하고 나섰다. 세계 최대의 원전업체인 아레바가 여전히 건재한 프랑스의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미국은 31년만에 원전 건설을 재개하고, 러시아는 군사적 지원으로 원전 세일즈에 가세하고 있다. 이들에 맞서려면 원천 기술 확보 등 기술 자립도를 높여야 한다. 아울러 각국이 경쟁 속에서도 윈-윈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연대전략을 펴는 지혜가 필요하다.

스포츠나 원전 문제는 사례로 짚어 본 데 불과하다. 서울시가 외국인 모니터링단을 구성해 버스 불편을 점검한다고 한다. 외국인이 한국에서 겪는 불편을 빠짐없이 모니터링하도록 확대하는 게 바람직하다. 선진 한국으로 도약하려면 모든 분야에서 시야를 넓혀야 한다. 우리에게 요구되는 건 자만심이 아니라 자부심이다. 현실 만족이 아니라 미래 도전이다.
2010-03-0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