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준의 시간여행] 인력거꾼을 아시나요

[이호준의 시간여행] 인력거꾼을 아시나요

입력 2020-06-16 18:00
수정 2020-06-17 02: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외국, 특히 조금 가난한 나라의 여행지에서 난감한 상황과 마주칠 때가 있다. 소위 관광용 인력거꾼들의 호객 때문이다. 말(馬)도 아니고 어찌 사람이 끄는 수레에 탈 수 있을까. 게다가 인력거꾼은 약속이라도 한 듯 늙거나 나뭇가지처럼 마른 사람들이 많다.

안 타면 그만이지만 그들의 간절한 눈빛을 보면 마음이 흔들리고는 한다. 내가 저걸 타야 저 사람 가족이 한 끼 밥을 먹을 수 있는 건 아닐까. 그러다가 문득 내 나라에도 인력거꾼이 거리를 누비던 시절이 있었다는 데까지 생각이 미치면 마음이 더 무거워지고는 한다.

인력거는 말 그대로 사람을 태우고 사람이 끌어서 움직이는 1~2인승 수레를 말한다.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다. 자전거바퀴처럼 생긴 큰 바퀴 2개, 한두 사람이 앉을 만한 공간, 비나 햇볕을 가릴 정도의 포장…. 바퀴는 처음에 철제였다가 점차 통고무 소재로 바뀌었고 1910년대에는 압축공기를 넣은 타이어가 등장했다.

인력거가 이 땅에 첫선을 보인 건 고종 31년(1894년)이었다. 처음 도입될 때는 사람의 힘으로 끈다고 하여 완차(腕車) 또는 만차(挽車)라고 불렀다. 인력거는 돈 좀 있는 사람들의 교통수단으로 서울은 물론 부산·평양·대구 등 지방까지 급속히 보급됐다.

이런 토양 속에서 현진건의 소설 ‘운수 좋은 날’(1924년ㆍ개벽)이 태어나게 된다. 바늘 하나 꽂을 땅이 없는 농투성이들이 소작하던 땅까지 떼이고 도시로 흘러들어와 할 수 있는 일은 뻔했다. 인력거꾼 역시 산 입에 거미줄을 치지 않도록 해 주는 수단 중 하나였을 것이다.

처음에는 고위관리들이 인력거를 많이 이용했다고 한다. 기차역에서도 인기가 있었고 기생들도 단골손님이었다. 요릿집에서 손님이 종업원에게 기생을 지명하게 되면, 즉시 기생조합에 연락이 돼 인력거를 타고 왔다고 한다. 인력거를 부르는 방법은 요즘의 콜택시와 비슷해서 타려는 사람이 인력거조합에 전화를 걸면 보내 주는 방식이었다.

물론 부르지 않아도 길거리에서 빈 인력거를 탈 수 있었고, 역 앞이나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는 인력거꾼들이 진을 치기도 했다. ‘운수 좋은 날’을 읽으면서 궁금했던 분들도 있었을 것이다. 김 첨지는 인력거가 있는데 왜 그렇게 가난했던 걸까. 하지만 지금의 영업용 택시가 그렇듯이 대부분은 ‘회사 인력거’였다고 한다. 인력거꾼들은 차주의 횡포로 비참한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다.

요금은 서울에서 인천을 가는 데 쌀 반 가마니 값이 넘는다. 1922년에는 승객이 줄어드는 것을 막기 위해 인력거요금을 내렸던 모양이다. 거기에 보면 ‘종래 10리(里)에 80전 하던 것을 60전으로, 하루에 5원 하던 것을 4원으로 인하한다’고 돼 있다.

하지만 인력거 시대는 그리 길지 못했다.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각종 교통수단이 쏟아져 들어오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1912년에는 임대승용차(택시)라는 게 등장했고 전차, 버스 등이 거리를 누비기 시작했다. 물론 한참동안은 인력거와 신문물의 공조가 가능했겠지만 영세한 자본과 절대 수송량의 빈곤을 이길 방법은 없었을 것이다.

결국 인력거도, 거기에 기대서 입에 풀칠이나마 하던 인력거꾼도 서서히 사라지게 됐다. 1923년에 전국적으로 4647대였던 인력거는 1931년에 2631대로 줄었고 반대로 자동차는 4331대로 늘었다. 해방 무렵에는 서울에서 구경조차 어렵게 됐다.

그 뒤 70~80년이 지난 지금, 교통수단으로서의 인력거를 기억하는 사람은 없다. 불볕더위에 팥죽 같은 땀을 흘리며 누군가의 다리가 돼야 했던 인력거꾼의 고된 삶도 이제 소설에서나 읽을 수 있을 뿐이다.
2020-06-17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