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논설위원
그런데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추진하는 정부·여당에도 강력한 의지를 가진 사람만 있는 것은 아닌 듯하다. 사실 국정화를 반대하는 세력이 주장하는 ‘획일적 역사인식의 폐해’는 불과 얼마 전까지 보수사관 한국사 교과서의 채택을 옹호하던 정부·여당이 내세우던 논리이기도 했다. 무엇보다 여론조사에서 부정적인 기류가 드러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강행하는 것은 당장 내년에 총선을 치러야 하는 여당으로서는 결코 흔쾌할 수 없는 일이다.
청와대라고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논리가 궁색하다는 것을 모를 리 없다. 그럼에도 강도 높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것을 심정적으로는 이해하지 못할 바도 아니다. 학교 현장에서는 진보적 시각을 담은 한국사 교과서가 주축을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지난 2013년 보수 사관의 교과서가 출판된 것도 ‘역사인식의 다양화’를 위한 정책의 결과였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보수 시각 교과서는 정식으로 채택한 고등학교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알려질 만큼 처절하게 실패했다.
최근 학계의 성명에는 “교학사 교과서를 지지했던 정치 세력에 의해 국정화가 공론화된 게 문제”라는 대목도 보인다. 그러나 교학사 교과서는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은 물론 대표성도 찾을 길 없는 정치 편향적 필진이 부실한 교과서를 만들어 보수 시각을 대표하는 양 과장한 데 불과하다. 당시 무능을 보여준 사람들은 오히려 이후의 논의에서는 철저하게 배제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런 지경이었으니 청와대는 보수 교과서 도입이 실패한 데 따른 마지막 선택으로 국정화를 추진하고 있을 개연성이 매우 높다.
논리의 허점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반대하는 학계에도 있다. 그동안 잇따른 학계의 반대 성명은 시각과 강도에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내용은 엇비슷하다. 당연한 일이지만, 역사인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대목을 빼놓은 성명은 없다고 해도 좋다. 그제 연세대 교수들도 성명에서 “미래 세대 청소년에게 획일적 역사관을 강요하는 것은 헌법에 명기된 교육의 중립성과 자율성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했다. 지난주 부산대 역사 교수들도 “단일 교과서로 가르치겠다는 발상은 획일적 역사인식을 강요하는 정신적 폭력이자 심각한 역사적 퇴행”이라고 했다.
옳은 얘기다. 획일적 역사인식의 강요에는 당연히 반대한다. 한국사 국정 교과서에 나와 다른 시각 일변도의 내용이 담긴다면 ‘획일적 역사인식의 강요’가 분명할 것이다. 하지만 내가 지지하는 교과서만 인정하고, 다른 시각의 교과서는 어림도 없다는 인식 또한 ‘획일적 역사인식의 강요’는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불행히 보수와 중도를 포함해 다양한 시각을 가진 한국사 교과서의 존재를 인정하고 수용해야 한다고 국민을 설득하는 내용은 어떤 성명에서도 아직 보지 못했다.
이제 역사학계 원로와 중진들도 나설 때가 됐다. 정부·여당과 역사학계, 나아가 청와대와 역사학계의 ‘전쟁’을 중재할 수 있는 유일한 세력이 원로와 중진일 것이다. 이들이 학계 내부의 합의를 이끌어 생각이 다른 사람도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새로운 중도·보수 한국사 교과서를 집필하는 것이다. 이 교과서의 보급에 학계 전체가 협력까지는 아니더라도 방해하지 않는 것도 중재안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당연히 정부·여당 및 청와대와는 새로운 교과서가 보급되는 동안 국정 교과서 추진 계획을 중단하도록 합의해야 한다. 한국사 교육에서 비롯된 문제가 더 큰 사회 갈등으로 비화하지 않도록 역사학계의 현명한 대처를 기대한다.
dcsuh@seoul.co.kr
2015-09-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