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우선 언론의 ‘몰아가기’ 행태다. 많은 언론이 대구시와 한국관광공사의 처사를 싸잡아 비난했다. 지금 상황이 엄중한데 어떻게 이런 쇼를 돈 들여 열 생각을 했나, 그럴 돈 있으면 수당이나 제대로 지급하라는 비난이 쏟아졌다. 앞서 대구시 공무원의 긴급생계자금 부정 수급 논란까지 있었던 터라 비난의 수위는 한층 높았다.
하지만 조금만 들여다보면 별개의 사건들이 하나로 엮인 거라는 걸 금방 알게 된다. 간호사 수당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은 것과 관광공사의 드론 쇼는 관련이 없다. 대구시의 간호사 수당 지급 문제를 관광공사가 알면서도 행사를 기획했다면 비난받아 마땅하다. 한데 그런 사정들을 관광공사가 알았을 리 없다. 욕을 먹어도 싼 사람이 있다면 코로나 수당 문제와 관광공사의 드론 쇼 기획을 동시에 알고 있던 사람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대구시를 비난하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의료인 수당과 관련된 부분에서만큼은 관광공사가 욕먹을 일은 아니다.
더 개운치 않은 건 칭찬받을 일만 기획하는 전시행정의 전형이 이 해프닝을 통해 드러났다는 것이다. 이전부터 ‘스마트 관광’에 공을 들여 왔던 관광공사 입장에서 드론 쇼는 퍽 괜찮은 아이템이었을 것이다. ‘재래식 위문 공연’과는 차원이 다른 공연을 적당한 거리두기를 유지하며 안전하게 보여 주고 싶었을 것이다.
물론 드론 쇼가 좋은 볼거리인 건 분명하다. 한데 드론 대부분은 중국산이나 미국산일 게 뻔하다. 그러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드론을 잘 조작하는 기량을 선보이는 것에 불과했을 것이다. 공적 영역에서조차 국산 드론의 활용도가 절반에도 못 미치고, 민간 부문의 촬영용으로는 사실상 전무한 실정인데, 외국산 기기를 들여와 현란한 조작 기술을 선보인다 한들 뭐 그리 스마트하게 보일까.
드론 쇼로 위문 행사를 여는 게 관광공사가 나서서 해야 할 일이냐는 지적도 있다. 지금 코로나19 탓에 국내 관광지형은 송두리째 흔들리는 상황이다. 어차피 바뀔 것이긴 했지만, 종전의 여행업자들로서는 탈태의 순간이 너무 급작스럽게 찾아왔다. 그 탓에 연착륙은커녕 아예 착륙조차 못 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국내 패키지 여행상품을 운영하던 한 소규모 여행사 대표는 요즘 배송업체에서 ‘알바’를 하며 생계비를 마련하고 있다. 해외 여행업을 하던 이들 중 한 명은 동호인들에게 특화된 상품을 파는 국내 여행업으로 업태를 변경했지만 지방자치단체에 이런 일을 담당하는 조직이나 인원이 없어 속된 말로 ‘맨땅에 헤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드론 쇼 해프닝이 빚어졌으니 하루하루 애가 타는 여행업계에선 기가 막힐 노릇이다. 이렇게 칭찬받을 일 말고, 덜 티가 나더라도 여행업계에 실질적인 위로를 주는 일을 기획할 수는 없었을까. 드론 쇼 해프닝에서 관광공사가 비난받아야 하는 건 바로 이 대목이다.
코로나19 이후 관광공사에 불만을 표시하는 사람이 많았다. 특히 관광업계에서 그랬다. 관광공사가 비상 상황에서 전혀 움직이지 않고 있다는 게 불만의 요지였다. 창업 지원이 됐건, 전업 지원이 됐건 뭔가 하부조직을 만들어 재래식 여행업을 하는 이들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관광공사가 했어야 했다. 알아주는 이가 없다 해도 소외되고 도태된 이들에게 공을 들이는 것, 그게 공적 기관이 할 일 아닌가.
angler@seoul.co.kr
2020-06-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