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환 국제부 선임기자
중앙군사위원회 소속인 징시빈관은 중국군이 운영하는 만큼 ‘가장 안전한 호텔’로 꼽힌다. 지도부 거주지 중난하이(中南海), 외국 정상의 숙소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관과 같이 보안등급이 최고다. 비밀회의로 진행되는 중앙전회의 관행은 1921년 창당과 맥이 닿아 있다. 당국의 감시를 피해 대회 장소를 갑자기 바꿔야 했던 공산당이 1949년 집권 때까지 지하당으로 전전한 이력 때문이다. 중앙전회가 비밀리에 열리다 보니 징시빈관은 중국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 ‘역사적 산실’이기도 하다. 1978년 개혁·개방을 천명한 11기 3중전회가 열려 덩샤오핑(鄧小平)시대의 서막을 올렸다. 1989년 톈안먼(天安門) 민주화운동 유혈 진압 직후 소집한 13기 4중전회에서는 ‘무명’의 상하이시 당서기 장쩌민(江澤民)을 총서기로 뽑아 3세대 집단지도체제가 출범했다.
비밀주의 관행은 이뿐 아니다. 전·현직 지도부의 휴가를 겸한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도 기간이나 결과 모두 깜깜무소식이다. 이 회의에서 권력투쟁이 결판나는 만큼 중앙전회를 ‘거수기’로 만들기도 한다. 공산당에만 비밀주의가 있는 게 아니다. 미국 제재를 받는 화웨이(華爲)도 언론에 일절 응하지 않는 ‘신비주의’로 기술력과 사업규모가 베일에 가려 있다. 민영이지만 ‘중국을 위하여’라는 이름부터 민족주의 색채가 짙은 회사의 창업자 런정페이(任正非)는 군 장교 출신의 홍색자본가다. 관급 공사를 독점 수주한 덕에 급성장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문제는 비밀주의가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고 큰 재앙을 부른다는 데 있다. 불과 17년 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도 당국은 쉬쉬했다. 몇 달 뒤 사스로 베이징 시민들이 목숨을 잃자 뒤늦게 진상을 공개했지만 초기 대응 실패로 22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며칠 전 흑사병 발병 때도 사실 공개는커녕 온라인 통제에 나섰다. 20일이 지나 당국이 발표한 내용은 이렇다. “베이징은 흑사병 환자 2명을 적절히 치료 중이다. 격리 치료와 접촉자 추적관찰, 예방 조치 중이다.” 질병예방통제센터 발표는 더욱 가관이다. “흑사병은 예방·치료할 수 있다. 흑사병 발생 지역이 아니라면 걱정할 필요 없다.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에 신경 쓰는 게 좋다.” 이런 무성의한 발표에 ‘괴담’이 순식간에 퍼져 민심이 뒤숭숭해졌다.
뼈아픈 기억은 오래가는 법인데도 이로부터 교훈을 얻지 못한 것 같다. 미국에 “태평양을 나눠 갖자”고 호기 부릴 만큼 성장한 중국이 ‘차이나드림’을 앞세우기보다 ‘비밀주의’부터 청산해야 한다. 전혀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지난해 6월 북한 최고지도자 비밀방중 관행도 70년 만에 깨뜨리지 않았는가.
khkim@seoul.co.kr
2019-11-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