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맛은 그렇다 치자. 저마다 음식에 대한 호불호는 다를 테니까. 찬 음식을 즐기는 이도 있다 치자. 한데 값이 비싼 건 문제다. 이날 7000원을 받고 일식집에서 제공한 서비스는 앞서 적시한 식재료를 이용해 조리한 음식이 전부다. 만든 음식조차 죄다 손님들이 날라야 하니, 일반 식당과 같은 접객 서비스는 언감생심이다. 그런데도 시중 식당보다 비싼 값을 받는 배짱의 근거가 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언필칭 ‘자율배식’ 형태로 운영되는 식당은 더 기가 막힌다. 밥과 반찬 등 단품을 사서 먹는 형태인데, 겁 없이 ‘1식 4찬’(밥 하나에 국 등 반찬 넷) 고집했다가는 호텔급의 밥값을 낼 수도 있다.
물론 다 이렇지는 않다. 오늘 만든 재료로만 호두과자를 만드는 곳도 있고, 유명 프랜차이즈 커피집의 절반 가격에 맛있는 커피를 내는 곳도 있다. 연잎밥 같은 독자적인 음식을 개발해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식당도 있다. 이런 집들이 많지 않다는 게 문제지만 말이다.
검색 사이트에서 ‘비싼 고속도로 휴게소’를 검색한 뒤 ‘뉴스 라이브러리’를 클릭해 보시라. 고속도로 휴게소의 문제가 뭔지, 대체 언제부터 문제라고 지적했던 것들이 여태껏 변하지 않고 꿋꿋하게 이어져 오고 있는지 단박에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 뉴스들이 달고 있는 제목은 ‘더럽고 비싸 분통’이거나 ‘손님은 돈 내는 기계, 싫으면 말라식 상혼’ 등이다. 이 대목에서 예전과 달라진 건 더럽지 않다는 것 정도다. 고속도로 휴게소 시설, 참 좋아졌다. 깔끔해졌고 기능도 다양해졌다. 그 비용을 일정 부분 수익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것도 맞다. 한데 도가 지나치다. 휴게소에서 1500~1800원 받는 이온 음료 한 병이 제주 한라산 윗세오름대피소에서는 1000원이다. 물류 운반 때 소요되는 비용이 어디 한라산만 하겠나. 한데 고속도로 휴게소에서는 왜 그리 비싼가. 여기서 제값 받는 건 담뱃값 정도이지 싶다.
한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은 비싸고 맛없다는 게 일반적인 인식이었다. 여기엔 뜨내기 손님들만 상대하는 곳이라는 선입견이 적잖이 작용했을 터다. 이런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해마다 고속도로 휴게소 맛자랑대회를 여는 등 여러 노력들이 이어졌다. 한데 최근 일부 음식점에서 이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행태를 일삼아 개선이 시급해 보인다. 값이 비싼 것엔 그만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맛이 뛰어나거나, 최소한 서비스라도 훌륭해야 한다. 이도저도 아니면서 비싸기만 한 건 독점의 폐해라고밖에 볼 수 없다.
angler@seoul.co.kr
2015-03-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