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올 초 우리나라는 AI로 홍역을 치렀다. 언론 보도를 토대로 당시 전개 상황을 되짚자면 이렇다. 1월 하순 일부 지역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인됐다. AI는 손쓸 틈도 없이 전국으로 번졌다. 여기저기서 농림축산식품부 등 방역 당국에 대한 원망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그러자 당국은 ‘유력한 용의자’로 철새를 내세웠다. 환경단체나 국제기구, 일부 조류학자의 생각은 달랐다. 질병의 확산에 닭, 오리 등 가금류의 영향이 더 컸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부가 원인 파악은 소홀히 한 채 희생양 만들기에만 급급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홍콩이나 중국 등에서 AI 발생 사실이 전해지면 흔히 비위생적인 사육 시설을 주원인으로 꼽는다. 한데 이게 한국으로 넘어오면 철새 탓이 된다. 사실 철새가 ‘범인’이 되면 여러모로 편하다. 무엇보다 당국에서 방역 실패의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 지난해 한국에 온 철새가 127만 마리 정도였다는데, 그 많은 새들이 날아다니며 병을 옮기는 걸 방역 당국이 무슨 수로 막겠나. 결국 올 8월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철새를 AI 확산 ‘주범’으로 최종 확정했다. ‘가축·사람·차량 등의 이동’ 등에도 주범 못지않은 책임을 지웠다. 겨울 철새가 사라진 7월과 9월, 11월에도 AI가 발생했지만 이번엔 ‘텃새화된 철새’ 탓으로 책임을 돌렸다.
철새의 숙주 여부를 가리는 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축산농가뿐 아니라 철새 보호를 위해서도 그렇다. 예컨대 가창오리는 우리나라에 날아오는 무리가 사실상 종의 전체다. 이들이 AI에 감염되면 한 종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어느 한쪽의 입장만 염두에 둔 결론은 매우 곤란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한데 환경단체나 학계 일부에서는 여전히 정부 발표를 액면 그대로 믿지 않는 분위기다.
올겨울에도 어김없이 철새는 날아들고 있다. 금강, 천수만 등에서 가창오리와 기러기 등이 확인됐다. 특히 가창오리는 지난여름 정부 발표에서 유력한 범인 중 하나로 지목된 철새다. 벌써 AI의 확산 가능성이 수면 아래서 꿈틀대고 있다는 얘기다.
철새들의 남하 속도가 빨라질수록 이들을 보려는 탐조객들의 발걸음도 속도를 내기 시작한다. 사실 탐조(探鳥)여행은 매력적인 겨울철 여행 아이템의 하나다. 내국인의 국내 여행이 줄어드는 시기에 그나마 지자체들에 관광객을 안겨 주는 효자 노릇을 한다. 한데 정부 판단대로라면 관광객은 철새들이 오가는 곳에 얼씬도 하지 말아야 한다. 지자체마다 준비한 철새축제도 줄줄이 취소해야 한다. 환경단체 등이 벌이는 철새 먹이 주기 활동은 당연히 엄금해야 한다. 그러자니 적잖은 반발도 예상되는데, 방역 당국이 이를 논리적으로 제어할 방안을 마련해 뒀을지 궁금하다.
angler@seoul.co.kr
2014-12-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