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요리사의 책상/남진우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요리사의 책상/남진우

입력 2017-01-06 18:00
수정 2017-01-07 0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요리사의 책상/남진우

내 타자기로는
빵을 굽거나 생선을 튀길 수 없다
서투른 요리사처럼 손가락 끝으로 톡톡 쳐봐도
백지엔 부서진 글자의 파편만 어지러이 나뒹굴 뿐
그 어떤 조미료도 국물도 없이
나는 황야를 떠돌며 주린 배를 채워야 한다
때로 책상 앞에서 잠시 잠에 빠지면 타자기는 나 대신
빵을 굽고 생선 튀기는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보글보글
끓어넘치는 타자기
방 안을 떠다니는 온갖 음식들의 향기
자판이 움직일 때마다 밀가루 반죽이 퍼져나가고
수면 위로 튀어오른 생선이 비늘을 번득인다

늦은 저녁
타자기가 맹렬히 달려가고 있다
텅빈 거리 저편 홀로 불 환히 켠 식당을 향해
배고픈 입 한껏 벌리고

새해 첫날 누가 ‘시 써서 먹고살 만하냐’고 물었습니다. 예부터 없고 귀해 그랬겠지만 같은 값이면 ‘웃고 살 만하냐’ ‘놀고 살 만하냐’ 물으면 더 좋을 텐데, 그래도 딱히 굶은 적은 없으니 살 만하게 살았나 봅니다. 그만큼 먹고사는 일이 중하니, 글 쓰는 사람에겐 타자기가 밥솥이자 불판일 테고, 우리 모두는 결국 제 삶을 위한 요리사일 겁니다. 시에서 보이는 대로 타자기가 저절로 글을 써서 음식을 구해오는 것은 아니겠지요. 그러나 꿈을 꾸는 것처럼 정말 내가 아니라 타자기가 글을 쓰고 있는 듯한 때가 있기도 합니다. 어떻게 저 ‘이상한 느낌’이 이 분명한 ‘먹고사는 일’ 속으로 뛰어드는 것일까요? 마치 사랑처럼 말입니다. 시의 마지막 대목처럼 밥을 하는 사람도 배가 고픈 법입니다. 살기가 힘드니까 사랑하기도 힘들지만, 새해에는 모두 ‘사랑하고 살 만하다’고 말하면 좋겠습니다.

신용목 시인
2017-01-0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