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인류세’의 마지막 주인공/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인류세’의 마지막 주인공/전곡선사박물관장

입력 2021-09-07 17:22
수정 2021-09-08 03: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수십 억년 지구 역사를 24시간으로 환산하면 인류가 등장한 시기는 23시 59분 정도에 해당한다. 짧은 시간에 쌓아 올린 과학 문명의 덕으로 지구를 지배하는 주인공이 우리인 것 같은 착각 속에 살지만, 장구한 지구의 역사에 비하면 인류 문명이 등장하고 번성한 시기는 찰나의 순간이라는 사실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코로나19가 짓누르는 것도 모자라 숨이 턱 막히는 더위에 시달리고, 앞이 안 보이게 쏟아지는 소나기를 막연한 불안감으로 바라보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2021년 뜨거웠던 여름의 기억도 아침저녁으로 제법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어느새 희미해지고 있다.

하지만 지난여름의 살인적인 더위가 급격한 기후변화의 결과라는 사실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특히 한국은 지난 100년간 기온이 1.5도 올라서 세계평균의 2배를 뛰어넘었다는 점을 상기해 보면 우리는 기후변화가 아닌 기후위기의 시대를 살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최근 ‘인류세’라는 말을 심심찮게 듣는다. 인류세는 1995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네덜란드의 화학자 파울 크뤼천이 2000년에 처음 제안한 용어로 새로운 지질시대의 개념이다. 인류세라고 하니 마치 인류가 주인공인 새롭고 찬란한 시대로 오해할 수도 있지만, 인류세는 인류가 초래한 자연환경 파괴로 인한 기후변화로 지구의 환경체계가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대를 말한다.

기후변화는 인간을 포함한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하고 많은 동식물이 살 수 없게 된다. 생물다양성이 급속히 감소한다. 많은 과학자와 환경운동가들이 지금 우리 곁에서 진행되는 생물들의 소멸 사태를 여섯 번째 대멸종(sixth mass extinction)이라고 부르고 있다. 다섯 번째 대멸종은 바로 공룡의 전멸이었다. 최상위 포식자였던 공룡의 멸종처럼 인류의 멸종은 시간문제일지도 모른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인류의 멸종이 지구의 멸종은 아니라는 것이다. 인류가 멸종되더라도 생명은 계속될 것이다. 여러 차례 대멸종의 결과가 그러했다. 수백만 년 전 두 발로 일어선 후 주먹도끼를 만들고, 불을 피우고, 동굴벽화를 그리면서 변화하는 환경에 발 빠르게 적응하며 꾸준한 진화의 발걸음을 계속했던 인류의 역사는 허무하게 끝나고 우리가 아닌 다른 종이 지구의 주인이 될 뿐이다.

인류세의 주인공은 인류지만 스스로 파멸을 불러오는 마지막 무대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위험에 처해 있다. 인류세를 사는 우리는 변화하는 지구환경에 생존을 걸고 맞서 싸우지 않으면 안 되게 됐기 때문이다. 스스로 무덤을 판 것이다. 후회해도 소용없다. 환경 보호를 위한 노력과 실천만이 우리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다.

바야흐로 대선 국면이다.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심각한 기후위기에 직면한 인류세 시대의 한반도에서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국가적인 고민을 선도하는 그런 지도자를 만나고 싶다.
2021-09-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