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균미 칼럼] 참을 수 없는 ‘말’의 가벼움/편집인

[김균미 칼럼] 참을 수 없는 ‘말’의 가벼움/편집인

김균미 기자
입력 2022-08-16 20:30
수정 2022-08-17 0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품격은 고사하고 갈등만 키우는
정치인들의 막말과 실언
공적 책임감 결여된 말의 대가
얼마나 엄중한지 알게 해줘야

김균미 편집인
김균미 편집인
말이란 한 번 입 밖으로 나오면 주워 담을 수 없다. 공인(公人)의 말은 더더욱 그렇다. 국민의 일상과 기업 경제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통령과 국무총리, 장관은 발언에 더욱 신중해야 한다. 정치 지도자들도 마찬가지다. 말이란 본인 의도와 얼마든지 다르게 해석되고 받아들여질 수 있기에, 수시로 소환되기에 언론과 남 탓하기 전에 적확한 단어는 물론 뉘앙스까지 신경 써야 한다.

흔히들 말과 글이 사실과 다르면 바로잡으면 된다고 생각한다. 안타깝게도 대중은 후자에 별로 관심이 없다. 때문에 처음이 중요하다. 정치인들은 개념 없는 막말로 논란이 생기면 변명부터 늘어놓는다. 자신이 내뱉은 말에 사과하는 정치인도 드물지만 진심이 담기지 않은 사과는 역풍만 불러온다.

이런 사실을 모르지 않을진대 정치인의 막말, 실언, 새털보다 가벼운 말이 끊이지 않는다. 금세 잊히고, 지지층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며, 총선까지 아직 멀었다는 오만한 현실 인식이 깔려 있다.

이런 인식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

지난 11일 폭우 피해 복구 현장에서 국민의힘 김성원 의원의 “솔직히 비 좀 왔으면 좋겠다. 사진 잘 나오게”라는 발언은 할 말을 잃게 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즉각 윤리위원회 회부 방침을 밝혔다. 징계가 흐지부지되지 않나 주시할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의원의 “저학력·저소득층에 국민의힘 지지자들이 많다”거나 “의원 욕하는 플랫폼 만들자”는 말도 비판을 받았지만 지나가는 분위기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지난주 24%까지 떨어졌던 여러 이유 중 하나도 출근길 약식 회견에서 내놓은 정제되지 않은 말들이다.

당원권 6개월 정지 징계를 받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기자회견과 언론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과 당 지도부, 특히 윤핵관(윤 대통령측 핵심 관계자)을 겨냥해 감정적 발언을 쏟아냈다. ‘양두구육’과 자신을 “‘이×× 저××’ 하는 사람 대통령 만들기 위해 열심히 뛰었다”, “윤 대통령의 ‘이××’ 발언은 윤핵관에게 나를 때리라는 지령 역할” 등 날 선 발언은 정치 지도자의 자질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또 “이준석 대표의 말이 사실이라면 참으로 배은망덕한 대통령”이라고 윤 대통령을 비판한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말에는 헛웃음만 나온다.

고물가에 고금리, 경기침체 우려에 폭우로 인한 침수 피해까지 겹쳐 국민은 신음하고 있는데 정치권의 참을 수 없는 말들의 가벼움은 선을 넘었다. 말로만 민생, 국민을 찾을 뿐 온 신경은 당권 경쟁, 정치적 생존에 쏠려 있다.

정치인에게는 비전과 능력이 중요하다. 이에 못지않게 국민과 공감하고 설득하는 소통 능력도 필요하다. 국민 눈높이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정책을 수립해야겠지만 고통 분담이 불가피하다면 공론화 과정을 통해 설득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이 말이고 글이다. 그런데 말하는 사람을 신뢰하지 않으면 뭘 할 수 있겠나.

올 1월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에게 “말수 줄이고, 어투와 행동 다 바꾸라”고 쓴소리했던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지난 15일 블로그에 ‘이준석을 위로함’이라는 제목으로 5000자가 넘는 긴 글을 올렸다. “상대방 인격에 치명타를 가하면서 자신의 도덕적 수준까지 의심케 하는 발언”은 하지 말고 “아무리 서운해도 지도자라면 일정 선 이상 도를 넘어서는 안 된다”며 말의 품격과 공적 책임감을 강조했다. 30대 여당 대표 한 명에게만 하는 고언은 아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말과 관련한 경구가 많은 건 그만큼 제대로 말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말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공감의 도구인 동시에 공격과 분열의 수단이기도 하다. 정치인의 가벼운 말을 더는 인내할 수 없는 이유다.
2022-08-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