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환 체육부장
혁신위는 문체부, 기획재정부, 교육부, 여성가족부, 국가인권위원회까지 차관 4명과 상임위원 1명이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한 문재인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실린 기구다. 문경란 전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위원장이고, ‘스포츠 인권’, ‘학원 스포츠 혁신’, ‘스포츠 선진화·문화’ 3개 분과가 조직돼 있다. 내년 1월까지 권고안 이행 여부까지 확인하고 해산한다.
한 주도 거르지 않고 수시로 분과회의와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는 정황을 빼고는 혁신위의 활동은 극소수 공개된 내용을 제외하고 대외비다. 혁신위 내부 이견이 만만치 않아 개별 권고안마다 합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얘기도 나오지만 진위 파악은 어렵다. 한 혁신위원은 “주말도 없이 수시로 회의가 열려 (진행 상황을) 잘 모르겠다”고 했다. 또 다른 이는 “지난(至難)하다”는 표현으로 분위기를 전했다.
혁신의 사전적 정의는 ‘낡은 관습이나 조직을 완전히 고쳐 새롭게 하다’다. 기존에 해오던 걸 더 열심히 해 이룬 성과는 혁신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완전히 새 가치를 만들어 내는 활동이다. 혁신위원들이 누구나 다 아는 걸 동어반복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는 근거다.
혁신위 안팎에서도 권고안이 대증요법이 아닌 ‘충격요법’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제기된다. 혁신위 테이블 위에 현행 체육특기자제도 폐지와 대한올림픽위원회(KOC)를 대한체육회에서 떼내는 방안 등이 유력하게 논의 중이라는 말들이 흘러나온다.
대한체육회도 지난 2월 성폭력 비위 조사, 인권, 제도 개선, 선수촌 혁신 등 4개 소위원회로 구성한 별도의 체육시스템 혁신위원회를 출범해 맞불을 놓고 있다. 두 혁신위가 체육계 구조 개혁을 놓고 경쟁한다면 박수 칠 일이지만 현실은 그 반대다. 오히려 혁신을 명분으로 상호 충돌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대한체육회 이사회는 혁신위 출범 전후로 이기흥 회장 사퇴와 KOC 분리 방안에 반대를 천명했다. 대한체육회 노조마저 지난 3월 체육회만 손보는 건 개혁이 될 수 없다는 성명을 내며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엘리트 스포츠, 학교체육, 생활체육을 혁신하기 위한 구조는 단순하다. 대한체육회가 핵심이다. 옛 대한체육회와 옛 대한올림픽위원회, 옛 국민생활체육회가 2009년 6월 하나로 통합된 조직이 현 대한체육회다. 대한체육회는 2017년 3450억원, 진천선수촌 건립이 끝난 지난해 2877억원의 세금을 지원받았다. 대한체육회가 혁신에 적극 동참해야 하는 이유다.
혁신위는 이제부터가 시험대다. 권고안이 아무리 좋다한들 각 이해당사자들이 받아들여야 실효성을 갖게 된다. 체육특기자제도는 학부모와 학생 선수, 중고교와 대학 등 이해관계자가 광범위하다. 사전 청책(聽策) 없이 시장에 충격부터 줄 사안이 아니다.
혁신은 힘으로 밀어붙이는 게 아닌 그 가치에 공감하는 데서 완성해야 한다. 두 혁신위가 충분히 대화하고 각자 혁신안에서 옥석을 가려야 ‘윈윈’할 수 있다. 내년은 조선체육회(1920년) 출범으로 한국 체육이 태동한 지 100년이 된다. 체육계 병폐와 해묵은 체질을 바꿔 새로운 100년을 맞을 절호의 기회다. 체육계 구조 개혁이 ‘용두사미’가 되지 않기 위해 두 혁신위가 앞장서길 기대한다.
ipsofacto@seoul.co.kr
2019-04-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