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이주영과 에릭 홀더/이창구 국제부 차장

[데스크 시각] 이주영과 에릭 홀더/이창구 국제부 차장

입력 2014-09-02 00:00
수정 2014-09-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창구 국제부 차장급
이창구 국제부 차장급
3년 전 정치부에 근무할 때 당시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이던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과 저녁 식사를 몇 번 한 적이 있다. 다른 중진 의원들과 달리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모습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판사 출신이라서 그런가 싶었다. 회사 동료가 입원한 어느 날 병문안을 갔다가 막 병실을 나서려는데 이 장관이 나타나 깜짝 놀랐다. 짧게 문병하고 조용히 자리를 뜨는 모습을 보며 ‘사람 챙길 줄 아는 정치인이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장관을 다시 눈여겨보게 된 것은 지난 4월 16일 세월호가 침몰할 때부터다. 구조자 수조차 파악하지 못해 허둥대는 모습에 많은 이들이 ‘무능한 정부’의 전형이라고 비난했다. 분노한 유족들에게 5시간 넘게 둘러싸여 쩔쩔매는 모습도 보였다.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유족들의 슬픔과 분노를 듣는 것뿐이었다. 지방선거와 재·보선, 유병언 검거 호들갑으로 국민의 시선이 팽목항에서 멀어졌을 때에도 그는 야전침대에서 새우잠을 자며 팽목항을 지켰다. 그 사이 하얀 수염이 덥수룩하게 자랐다. ‘쇼’라는 비판도 있었지만 유족들이 서서히 그에게 마음을 열고 있다는 얘기도 들렸다.

세월호가 한국의 병폐를 그대로 드러낸 참사라면 지난 9일 미주리주 퍼거슨시에서 발생한 ‘마이클 브라운 사건’은 미국의 구조적인 흑백차별을 여실히 드러낸 사건이었다. 비무장 상태의 흑인 청년 브라운이 머리 위로 손을 들었는데도 백인 경관이 총을 난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흑인사회가 들고 일어났다.

결국 흑인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흑인 법무장관 에릭 홀더를 현지로 급파했다. 홀더 장관은 먼저 유족에게 달려가 그들의 요구를 들었다. 총격 현장, 음식점, 대학에 가서 시민들을 만났다. 그리고 분명하게 말했다. “나도 흑인이다. 진실을 반드시 밝히겠다. 법무부는 당신들 편이다.” 그의 진정성은 서릿발처럼 차고 날카로웠던 시위대의 가슴을 녹였고, 사태는 진정됐다.

이주영과 에릭 홀더는 모두 진심으로 경청했다. 차이점이 있다면 이 장관은 듣기만 했다는 것이다. 특별법을 둘러싼 대립이 극단으로 치닫고, ‘유민 아빠’의 목숨 건 단식이 43일째 되던 날 이 장관은 유족에게 아무런 말도 없이 수염을 깎았고, 해수부장관 ‘고유 업무’를 재개하기 위해 일본 출장길에 나섰다.

애초 이 장관이 무슨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 사람은 별로 없다. “교통사고 아니냐”, “노숙자들 같다”며 유족을 조롱한 동료 여당 의원들을 생각하면 묵묵히 팽목항을 지킨 것만도 용하다. 유족들의 면담 요구를 끝내 뿌리친 대통령도 이런 모습 때문에 경질 대상 1호였던 그를 유임시킨 게 아니었을까.

그래서 하는 말이다. ‘쇼’가 아닌 ‘공감’의 상징이었던 그 수염을 왜 하필이면 가장 절실할 때 정리했느냐 말이다. 만약 이 장관이 여-야-청와대-유족 사이에서 메신저 역할을 했으면 어땠을까. ‘유민 아빠’의 ‘아빠 자격’이 도마에 올라 난도질당할 때 그가 “4월 16일 그날의 마음으로 돌아가자”고 했으면 어땠을까.

최근 몇몇 미국 언론이 홀더 장관을 향해 ‘이미지 정치로 소요를 진압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홀더는 이렇게 말했다. “이 사건이 잊혀져도 나와 법무부는 퍼거슨시와 함께할 것이다.” 이 장관에게서 듣고 싶던 말이 바로 그것이다. “이 참사가 잊혀져도 나는 세월호와 함께할 것이다.”

window2@seoul.co.kr
2014-09-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