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인문학시대의 리더십/김경운 정책뉴스 부장

[데스크 시각] 인문학시대의 리더십/김경운 정책뉴스 부장

입력 2014-08-15 00:00
수정 2014-08-1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화 ‘명량’이 광복절을 낀 주말과 휴일에 과연 1500만명 관객이라는 신기록을 세울지 관심사다. 흥행 대박의 이유는 ‘영화’가 아니라 ‘이순신’ 덕분이라고, 그중에서도 요즘 국민이 갈망하는 리더십 때문이라고 말한다. 위기가 닥치자 민심과 공감하며 역경을 극복하고, 끝내 반전에 성공하는 지도자. 말처럼 쉬워 보이지 않는 그런 리더십이 세월호 정국에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리더십에 조금 생뚱맞지만 ‘아랫사람 하는 일을 슬쩍 모른 척하면서 믿고 기다려주는 덕’을 하나 보태고 싶다.

이미지 확대
김경운 정책뉴스 부장
김경운 정책뉴스 부장
1597년 9월 명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왜선 133척에 불과 13척으로 맞설 수밖에 없었던 것은 2개월 전 칠천량해전에서 대패한 원균 장군 탓이었다. 하지만 그도 억울할 수 있다. 부산포에 상륙한 왜군을 치려고 서둘러 출정하려 했지만 ‘무작정 나서면 수군이 궤멸될 수 있다’는 전임 이순신의 판단이 옳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았다.

그런데도 선조는 후방에서 출정을 재촉했고, 급기야 권율 장군이 달려와 원균에게 곤장을 치기도 했다. 병사들 앞에서 합참의장이 해군참모총장의 엉덩이에 매질을 한 것이다.

위에서 일선의 진언을 무시한 채 다그치다가 대세를 그르치는 일이 종종 있다. 1943년 1월 제2차 세계대전의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아돌프 히틀러도 러시아군에게 포위당할 위험에 놓인 제6군의 철수 요청을 묵살한 채 계속 버티라고 주문하다가 결국 많은 병력을 잃었다. 이는 진군만 하던 독일군이 처음 뒤로 밀려난 전투였고, 훗날 패전의 서막으로 남았다.

인기 작가 조정래 선생은 한 TV 강연에서 “시험을 칠 때 커닝하는 옆 사람을 감독자에게 고자질하고, 남을 밟아야 일어서는 사회는 인문학이 실종된 사회”라면서 “작은 것은 눈감아 주었다가 스스로 깨닫도록 도와주는 게 이 시대에 필요한 어른”이라고 말했다. 마음에 담아 두고픈 지혜의 말이다.

세월호 참사의 주요 피의자로 지목된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을 추적하면서 검찰과 경찰이 납득하기 어려운 실수를 반복하기도 했다. 베테랑 검찰 수사관들이 경찰을 따돌린 채 전남 순천의 별장을 급습했을 때 벽 속에 숨어 있던 유병언을 찾아내지 못하고 철수했다.

별장을 지키는 사람이 아무도 없자 유병언은 빠져나왔고, 그 뒤에 별장에 폐쇄회로(CC)TV가 설치되기도 했다. 경찰도 할 말이 없다. 연인원 100만명이 동원된 검문검색을 엉뚱한 곳에서 했고, 별장 근처에서 유병언의 변사체를 발견하고도 무연고자로 처리했다가 뒤늦게 DNA를 확인했다.

한 전직 부장검사는 “평소 검·경의 수사 행태로 볼 때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실수”라고 말했다. 실수의 이유는 검찰과 경찰의 쓸데없는 과열경쟁 때문이리라. 그런데 이런 과열경쟁의 원인은 혹시 대통령이 제공한 게 아닐까.

박근혜 대통령은 “못 잡는 것인가, 안 잡는 것인가”라며 세 차례나 검거를 다그쳤다. 아무리 ‘관피아’에 물든 공무원도 있다고 하지만 감히 대통령의 지시를 허투루 듣는 공복은 없을 것이다. 너무 몰아붙이면 평소 하지 않던 실수를 하기도 한다.

kkwoon@seoul.co.kr
2014-08-1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