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락 논설위원
우울한 마음을 달랠 길이 없어 회사 바로 앞에 있는 시청 앞 합동분향소에 들렀다. 이번이 두 번째지만 몇 번이고 또 오고 싶다. 희생당한 학생들보다 두 살 많은 딸을 둔 아빠로서 희생자들 앞에서 빌고 또 빌었다. “너희들을 지켜주지 못한 기성세대의 한 명으로서 정말 미안하다.”
세월호가 침몰한 지 어제(15일)로 꼭 한 달이 지났다. 매일 분노하고 우울해하고 안타까워하며 무기력해지는 격심한 감정 기복이 이어졌다. 하지만 이제는 이번 참사를 냉정하게 되짚어 봐야 할 때다. 1998년 외환위기 사태로 나라가 부도났지만 우리의 금융시스템을 선진국에 버금가는 획기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됐다. 이번 세월호 참사도 말로 형언할 수 없을 만큼 아프지만 우리의 재난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뜯어고치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멀리 갈 것도 없이 2010년 3월 10일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을 반면교사로 삼을 것을 권하고 싶다.
사고 당시 일본은 매뉴얼의 함정에 빠져 있었다. 바닷물을 끌어다 원자로를 냉각시키는 방법이 매뉴얼에 없었다는 이유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 피해를 줄일 기회를 놓쳤다. 세계 각국에서 구호물자를 지원받았지만 이를 어떻게 처리한다는 매뉴얼이 없어 공무원들이 창고에 쌓아 놓고 있다가 피해지역에 신속히 전달하지 못했다. 기자도 당시 도쿄특파원으로 취재하며 융통성없는 일본 정부와 일본사회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일본은 매뉴얼에 규정돼 있지 않은 일들은 전혀 못하는 ‘무능한 사회’라고 몰아붙인 적도 있다.
실제 일본 사회는 답답할 만큼 경직된 사회다. 초등학생들은 등하굣길에 학교에서 정해준 통학로에 따라서만 학교를 오간다. 신칸센이나 고속버스에서도 아무리 빈자리가 많아도 자기가 부여받은 좌석에만 앉는다. 시내버스가 급발차하거나, 정차하기 전에 자리에서 먼저 일어나는 승객은 3년 2개월간 내내 단 한 명도 보지 못했을 정도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가 터지고 보니 우리에게는 이런 고지식한 매뉴얼마저 없었다. 사고 발생 직후 해경이 침몰하는 세월호를 쳐다만 보고 허둥댔던 모습들이 이런 우리 사회의 단면과 실력을 고스란히 보여준 셈이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일본 사회의 고지식한 매뉴얼 준수 문화가 재난을 최소화한다는 믿음을 갖게 한다. 이제 재난 방지 문제도 기본으로 돌아가 다시 한번 차근차근 점검하고 매뉴얼로 만들어야 한다. 우리와 일본이 과거사 문제로 심한 갈등관계에 놓여 있지만 일본에 배울 것은 배워야 한다. 그 길이 일본에 배워 일본을 극복하는 지름길이 된다.
jrlee@seoul.co.kr
2014-05-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